•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목은 이색의 ‘물’에 관한 상상력과 표상화 양상 (The Aspects of Mogeun(牧隱) Lee Saek(李穡)’s Imagination on ‘Water’ and its Representation)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9.03
43P 미리보기
목은 이색의 ‘물’에 관한 상상력과 표상화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73호 / 7 ~ 49페이지
    · 저자명 : 김보경

    초록

    본고는 牧隱 李穡(1328-1396)의 시문에 나타난 물의 상상력과 그 표상화 양상을 고찰하여 고려후기 지적 전통과 인문학적 통찰을 새롭게 조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예비 검토로서 물 체험과 물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색이 유년을 보낸 충남 한산은 근원적인 물 체험 공간이다. 그에게 고향 한산은 물로 기억되는 안락하고 충족된 공간, 어머니의 품이다. 청년기에 오갔던 고려와 대륙의 길은 물 체험과 상상력을 확장해 주는 공간으로 외적 도전과 내적 성찰의 양면 가치가 교차한다. 한편 그는 산문작품에서 물의 성질과 보편적 특성을 논파하고, 시에서는 물을 가지고 성리학의 핵심 테제인 본성 문제를 자주 읊었다.
    다음으로 이색의 시에 나타난 물의 상상력과 표상화 양상을 강․비․우물 셋으로 나누어 고찰했다. 첫 번째는 흐르는 물-강이다. 그는 물의 유동성과 방향성에 주목해 물로써 인간의 본성을 빈번히 읊었다. 특히 그는 물의 흐르다․이어주다․돌아가다라는 특성을 공간 상상력과 시간 상상력으로 구성해 물 상상력의 다양한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두 번째는 내리는 물-비이다. 비는 일상이자 시의 주요 소재이다. 비는 다양하고 다면적인 성격을 구유하면서 화음을 이룬다. 그의 상상력은 한편으론 귀향(귀거래)의 꿈으로 이끌려가고, 한편으론 내면 성찰과 하늘 이치 탐색으로 이어지며, 또 민생과 사회․국가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되기도 한다. 세 번째는 비추는 물-우물이다. 앞의 둘과 달리 이 물은 움직임을 멈춘 물이다. 우물 역시 생활의 일부이면서 정화와 성찰의 표상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우물 안에서 자아는 우주와 대면한다. 우물은 동이의 물이나 잔잔한 강물로서 변용되기도 한다.
    이색은 고려후기 문학사와 지성사의 정점에 있는 인물이다. 그에게 물은 체험과 철학․문학에서 근원적인 물질 상상력이다. 철학에서는 성리학의 본성론․수양론의 핵심을 이루고, 문학에서는 물의 詩學이라는 가능성까지 생각해 보게 한다. 본고의 논의는 고려후기 인물들의 문학과 지성을 연구하는 데 한 디딤돌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new light on the intellectual tradition and humanistic insights in the late Goryeo period by examining the aspects of Mogeun Lee Saek’s imagination on ‘water’ and its representation in his literary works.
    First,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water were examined for a preliminary review. Hansan, Chungcheongnam-do Province, where he spent his childhood, is a fundamental space to experience water. For him, the hometown is a comfortable and fulfilled space, which is remembered as water, and the mother’s arms. The road between Goryeo Kingdom and the continent where he travelled in his youth is a space that expands the experience of water and imagination. That is a place where the dual values of external challenge and introspection meet each other. Meanwhile, he explained the nature and universal character of water in proses, and, in poetry, frequently explained the matter of nature, which is the core thesis of Neo-Confucianism, using water as a material.
    The aspects of his imagination on water and its representation in the poem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river, rain, and well to be examined. The first is flowing water - a river. He frequently explained human nature using water as a material, based on the liquidity and directionality of water. It is very impressive the way the imagination on water spreads to the imagination on space and the imagination on time,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flow’ in particular. The second is falling water - the rain. The rain creates a harmony with diverse and multifaceted characteristics. The rain plays an important part in everyday life and social companionship, which awakens the dream of returning home (or homecoming). Meanwhile, it leads to introspection and the search for the order of nature, and awakens an interest in people’s lives, society and country. The third is reflecting water – a well. Unlike the above two, this water is a water that has stopped moving. A well also has an important meaning as a part of life and the representation of purification and reflection. The self confronts the universe in a well. A well is sometimes transformed into the water in a bucket or the water in a calm river.
    Lee Saek is a man at the top of the literary and intellectual history of the late Goryeo period. For him, water refers to the fundamental material imagination in experience, philosophy, and literature. In philosophy, it forms the core of the theory of nature and theory of self-discipline of Neo-Confucianism. In literature, it also evokes the likelihood of the poetics of water.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steppingstone in studying the literature and intelligence of people in the late Goryeo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