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과세처분의 효력으로서 공정력과 형식적 존속력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the journalistic power and the formal legal validity in the effect of the tax assessment notic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5.04
32P 미리보기
과세처분의 효력으로서 공정력과 형식적 존속력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세연구포럼
    · 수록지 정보 : 조세연구 / 15권 / 1호 / 7 ~ 38페이지
    · 저자명 : 최원

    초록

    조세행정처분의 일종인 과세처분은 강학상 행정행위의 일종이다. 행정행위는 그 효력으로서 구속력, 공정력, 존속력, 자력집행력 등을 갖는다. 이 글은 그 효력 중 공정력과 형식적 존속력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면서 그 효력 들이 갖는 조세법상의 쟁점을 과세처분과 관련하여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우선, 과세처분의 공정력은 실정법상 취소쟁송제도, 직권취소제도, 집행부정지원칙, 체납처분제도에 의해 뒷받침 되는 효력이다. 그 이론상의 근거로는 자기확인설 내지는 판결유사설, 구속력 강요설, 적법성ㆍ유효성 추정설, 국가권위설, 법적안정설 내지는 행정정책설, 취소소송의 배타적 관할에 따른 반사적 효과설, 예선적 특권설이 있다. 그 중 실정법상 공정력의 근거가 되는 여러 제도들을 시대와 장소에 따라 알맞게 변용가능한 법적안정설 내지는 행정정책설이 가장 타당하다고 본다. 공정력의 한계로서 당연무효사유와 취소사유의 구별이 문제되고, 공정력의 효과로서 선결문제가 문제된다. 대법원은 당연무효를 판단함에 있어 과세처분에 존재하는 하자가 중대ㆍ명백한지를 기준으로 삼고 있다. 다만, 최근에 제3자에 대한 신뢰보호가 문제되지 않는 경우에는 하자의 중대성만으로도 무효를 인정한 판례가 있다. 또한 대법원은 납세의무자 등이 국가를 상대로 하는 부당이득 민사소송사건에서 선결문제로서 과세처분의 위법성을 심리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과세처분에는 권한 있는 기관에 의하여 취소되기 전까지 공정력이 있으므로 그 위법성 여부를 다툴 수 없다고 한다.
    다음으로, 형식적 존속력은 그 개념 정의에 관한 문제보다도 단기의 제소기간으로 인하여 불복기간이 도과한 당초처분과 증액경정처분 사이의 관계가 문제되고, 당초신고 후 증액경정처분이 있는 경우 그에 대한 불복기간 도과 후에도 당초 신고에 대한 경정청구가가능한지가 문제된다. 한편으로는 선행처분인 과세처분과 후행처분인 징수처분 사이에 하자의 승계여부가 문제되고, 국가배상의 요건으로서 위법성의 판단에 그 전제로서 불복기간이 도과한 과세처분의 위법성 여부를 심사할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이러한 제 쟁점들에서 문제되는 형식적 존속력은 법의 정의 관념을 희생하여서라도 조세행정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기에 조세법률관계의 안정을 기하고자 함에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공정력과 형식적 존속력의 관계에 대하여 공정력이 형식적 존속력을 포괄하고 있다는 ‘포괄설’, 공정력과 형식적 존속력은 별개라는 ‘별개효력설’, 공정력 개념의 ‘무용설’을 소개하고, 대법원이나 일본 최고재판소 판결은 그 중 포괄설의 입장에 있으나, 사견으로는 법 해석기능상의 도구로서는 공정력 개념의 무용설을, 학술상의 도구 개념으로서는 별개효력설을 지지하였다. 이는 종래 공권력일반을 의미하는 광의의 공정력 개념을 임시의 잠정적 통용력을 의미하는 협의의 공정력 개념이나 공정력 개념의 무용설로 그 개념의 범위를 축소 또는 소멸시킴을 의미한다. 연혁상 관권사상과 결부된 공정력 개념은 현대 법치행정에서 형식적 존속력의 개념과 관련하여 가급적 제한적으로 정의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Ein Verwaltungsakt hat Bindungswirkung, publizistische Kraft, Bestandskraft und Vollstreckungswirkung. Ein Steuerbescheid gehört zu einem Verwaltungsakt. Und somit hat ein Steuerbescheid auch Bindungswirkung, publizistische Kraft, Bestandskraft und Vollstreckungswirkung. In diesem Aufsatz habe ich die Beziehung zwischen der publizistischen Kraft und der formellen Bestandskraft in der Wirkung des Steuerbescheids geklärt.
    Die publizistische Kraft meint, dass rechtswidrige Steuerbescheide rechtswirksam sind. Sie bleiben rechtswirksam, solange und soweit sie nicht von der Behörde zurückgenommen, widerrufen, auf Rechtsbehelf von der Rechtbehelfsbehörde aufgehoben oder geändert werden. Anders verhält es sich bei einem nichtigen Steuerbescheid. Nichtige Steuerbescheide sind unwirksam, d.h. sie erzeugen keinerlei Wirkung. Nichtig sind solche Steuerbescheide, die an einem schwerwiegenden und offenbaren Fehler leiden. Die Theorie der publizistischen Kraft in der Wirkung des Verwaltungsakts stammt ursprünglich aus der Selbstbezeugungslehre von Prof. Dr. Otto Mayer, dem Gründer der Verwaltungsakttheorie im Deutschen Reich. Aber Mayer nahm nicht den Ausdruck “die publizistische Kraft” in Gebrauch. Im Jahr 1909 machte Prof. Dr. Minobe Datzkitzi aus Japan diese Terminologie originell. Korea hat diesen Ausdruck von Japan eingeführt.
    Mit der Bekanntgabe wird der Steuerbescheid gegenüber dem Inhaltsadressaten wirksam. Die formelle Bestandskraft meint die mit Ablauf der Rechtsbehelfsfrist eingetretene Unanfechtbarkeit des Steuerbescheids. Demgegenüber wird mit materieller Bestandskraft die inhaltliche Verbindlichkeit der Entscheidung umschrieben. In Korea ist die Rechtsbehelfsfrist 90 Tage. Diese Frist ist sehr kurz. Daher gibt es viele Probleme bezüglich der formellen Bestandskraft. Ich habe vier Streitpunkte in diesem Aufsatz erwähnt.
    Über die Beziehung zwischen der publizistischen Kraft und der formellenBestandskraft in der Wirkung des Steuerbescheids gibt es drei Lehren in der Gelehrtenwelt. Erstens, die Umfassungslehre, die besagt, dass die publizistische Kraft die formelle Bestandskraft umfasst. Hier meint die publizistische Kraft die allgemeine öffentliche Gewalt. Sie umfasst die Anfechtungsklage, das Einspruchssystem, das Prinzip des nicht Aussetzung der Vollziehung, sowie die kurze Rechtsbehelfsfrist. Somit können wir diese Lehre “die publizistische Kraft im weiteren Sinne” nennen. Zweitens, die Unterscheidungswirkungslehre, die bedeutet, dass die publizistische Kraft sich von der formellen Bestandskraft unterscheidet. Hier meint die publizistische Kraft die temporäre Geltungswirkung. Die Wirkung des Steuerbescheids wird von der publizistischen Kraft zur formellen Bestandskraft mit Ablauf der Rechtsbehelfsfrist umgesetzt. Und somit können wir diese Lehre “die publizistische Kraft im engeren Sinne” nennen. Drittens, die Nutzlosigkeitslehre, die besagt, dass die publizistische Kraft unnötig ist. Im Verwaltungsrecht Deutschlands wird sie nicht gebraucht, obwohl die rechtswirksame Wirkung der Verwaltungsakt ist. Einige Wissenschaftler behaupten, dass die publizistische Kraft ausgelöscht werden muss, weil sie die öffentliche Gewalt zu Reiches Zeiten symbolisiert. Das Höchstgericht nahm die Umfassungslehre. Aber ich vertrete die Unterscheidungswirkungslehre oder die Nutzlosigkeitslehre, denn ich möchte die publizistische Kraft auf ein Minimum reduzieren oder verschwinden lassen. Ich glaube, dass dieser Standpunkt der Startpunkt für die Verbesserung des Steuerprozessrechts 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