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지>에 재현된 ‘동학’의 서술전략과 지리적 상상력 (A Study of Aspects about Narrative of Donghak Represented in Toji)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6.08
33P 미리보기
&lt;토지&gt;에 재현된 ‘동학’의 서술전략과 지리적 상상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73호 / 311 ~ 343페이지
    · 저자명 : 문재원

    초록

    본 논문에서는 동학이 <토지>의 서사를 추동시켜 나가는 주요한 서사적 사건으로 개입되어 있음을 주목하여, 동학에 대한 서술전략과 이를 통해 변형되는 동학의 공간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작품 내에서 동학의 생멸(生滅)을 큰 축으로 동학이 민중들에게 재현되는 방식을 ‘소문과 상상’, ‘토론과 담화’, ‘후일담’의 세 양상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머슴, 곰보 목수, 화전민, 백정 등 가장 최하층계급에 속해 있었던 이들이 세상으로 나와 말하기 시작하는 데는 동학이 개입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체화의 계기로 동학(운동)이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작품 안에서 동학군의 거점이 지리산으로 설정되어 있다. 기존의 지리산에 표상된 저항의 이미지에 동학당이 모여듦으로써 저항과 위반의 이미지는 더욱 강화된다. 이러한 저항과 위반은 동학당 해체 이후 근원적인 생명사상을 적극 포괄한다. 넷째, 동학의 ‘싸움’ 전략이 김개주-김환의 세대를 지나면서 구심력에서 원심력이 작동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을 관통하고 있는 근본은 ‘이 땅의 변혁’을 열망하는 모든 이들의 ‘생명의 존엄성’이라는 공통된 기반에 있으며, 이는 <토지>의 주제의식이자 작가의식과 연결된다.

    영어초록

    Taking note tha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s weaved into Toji as an important event that drives the narrative of the novel, this paper examines how Donhak is arranged in the novel and what strategies and effects are involved in such arrangement. The author conveys Donghak through an indirect utterance of a rumor and a direct utterance of an on-the-scene discussion. In addition, the author sets up Jirisan mountain as the main background of Donghak and concurrently expands the narrative stage by promoting a communica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ountain. The narrative of Donghak is arranged as a narrative of resistance connected to anti-Japanese struggle starting from the Gobu Uprising, which is introduced in the first part of the novel. As the words by Unbong from Donghakdang emphasizes that “the blood of treason is the truth and hope of the oppressed subalterns,” the power of the people was at the very bottom of this revolt. Therefore, Kim Hwan's Donghakdang, which serves as the central axis of the narrative of Toji, is closely connected to a new placemaking. Here, Donghak can be viewed as a praxis that reveals the resentment and longing of the innumerable nameless, speechless, and voiceless people, and enables them speak for themselves. This process certainly demands a sensory order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rder for character subjectification. Moreover, this narrative of resistance requires a different way of reading besides the existing readings that converge on the three generations of the Choi fam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