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판결주문의 형식과 기판력의 객관적 범위의 관계 (Relationship of Form of Text of a Judicial Decision and Objective Extent of Res Judicata)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1.11
35P 미리보기
판결주문의 형식과 기판력의 객관적 범위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법학 / 53호 / 341 ~ 375페이지
    · 저자명 : 김일룡

    초록

    기판력의 객관적 범위를 확정함에 있어서는 소송물이론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기에 앞서 민사소송법 제216조 제1항의 “확정판결은 주문에 포함된 것에 한하여 기판력을 가진다.”는 문언에 충실하게 해석하여야 한다. 즉 사실관계가 이미 판결주문에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사실관계에 대해서는 기판력이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어떠한 권리관계의 원인에 불과할 뿐인 내용에 기판력이 있다고 하거나 채권계약의 존부나 소유권의 귀속과 같은 사실관계가 전소의 판결주문에 기재되어 있음에도 이에 대해서는 전소판결의 기판력이 미치지 아니한다는 일부 판례의 입장은 물론, 사실관계는 기판력의 범위를 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다는 일지설의 입장은 타당하다고 할 수 없다.
    판결주문의 형식을 기준으로 보면, 판결주문에 사실관계가 기재되는 경우인 소유권이전등기의 판결은 물론, 기타 재산권에 관한 의사진술을 명하는 판결,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의 판결, 전세권설정등기, (근)저당권설정등기, 지상권설정등기, 채권양도에 관한 의사의 진술을 명하는 판결 및 후발적 실효사유로 인한 말소등기의 판결, 채권에 대한 확인판결, 사해행위취소판결의 경우에는 어떤 소송물이론을 취하든 상관없이 판결주문에 기재된 전소의 원인사실에 기판력이 있다고 보아야 한다. 나아가 원고승소의 경우에 위와 같이 판결주문에 사실관계가 기재되는 사안이라면 청구기각 판결이 난 경우에도 원고승소의 경우와 동일한 범위로 기판력을 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를 제외하고 사실관계가 판결주문에 적시되지 않는 사안일 때 비로소 소송물이론을 적용하여 기판력의 객관적 범위를 정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렇게 해석하는 것이 민사소송법 제216조 제1항의 법문에 충실한 해석일 뿐만 아니라 한편으로 법원과 당사자의 심리의 편의와 신속한 결론을 이끌어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전소 판단이 부당한 경우 후소에서 이를 시정할 기회를 넓히려는 기판력 제도의 취지와도 부합한다고 본다.

    영어초록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objective extent of res judicata, the stipulation in the Article 1, Clause 216 of the Civil Procedure Act, “A final and conclusive judgement shall have the effect of res judicata in so far as the matters contained in the text thereof are concerned”, must be fully considered prior to the subject matter of a lawsuit theory. In this sense, it is only natural to regard that, in the case when all the fac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text of a judicial decision all the facts have the res judicata effect. In the case of all the facts having been described in the text of a judicial decision, the position of an opinion that claims that all the facts cannot be a standard for determining the extent of res judicata cannot be said as being reasonable. Furthermore, the position of the judicial precedent that claims that final judgement does not have res judicata effect on the in/existence of contract, which becomes the origin of a certain right, or belonging of ownership right cannot be said as being reasonable. On the contrary, the position of an opinion that claims that the extent of res judicata should be determined upon considering all the facts in every case, whether or not all the fac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text of a judicial decision, is also unreasonable because of its possibility to excessively draw in the determination of fact essential to the judgment when interpreting the text of a judicial decision.
    In short, the following cases should be seen as facts of cause of the final judgement having res judicata effect regardless of whichever theory of lawsuit object is applied: the case in which all the facts are described in the text of a judicial decision – judgement for not only ownership transfer registration but also for ordering expression on other property right; judgement on the principal registration based on provisional registration; judgement on right to lease on a deposit basis act of establishment registration, mortgage act of establishment registration and superficies act of establishment registration; judgement of ordering expression on transfer of credit; judgement on registration for cancellation from subsequent cause of effect; declaratory judgement on credit; fraudulent cancellation judgement. In addition, the reason for judgement or the content on cause of request should be considered at the minimum level needed to determine only in the case when the extent of res judicata cannot be determined because of the transparency and conciseness of the text of a decision. Such would be an interpretation faithful to the stipulation of the positive law for disallowing res judicata for the determination of fact essential to the judgment except for offs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