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중·고등학생의 영어 시제·상의 이해력 연구 (A Study on the Comprehension of English Tense and Aspect System of Kore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1.03
30P 미리보기
초·중·고등학생의 영어 시제·상의 이해력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28호 / 193 ~ 222페이지
    · 저자명 : 최미옥, 김남국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들 1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영어노출 시간에 차이가 나는 영어학습자들의 시제와 상의 습득경향을 살펴보았다. Buczowska와 Weist(1991), Weist, Atanassova, Wysocka와 Pawlak(1999), Weist(2002)의 연구 모델을 EFL 환경에 맞게 시제와 상의 체계(틀)를 조정·적용하여 일대일 영어면담을 통해 집단별 시제·상의 이해력 정도를 측정·분석하였다.
    수집한 학습자 반응을 연구 모델의 세 가지 시간 체계, 즉 사건시체계, 제한적준거시체계와 자유준거시체계 내의 실질측정항목별로 측정·분석하여 습득 경향을 살펴보면 첫째, 학습 초기부터 시제와 상의 습득이 같은 시기에 이루어지는 영어 모국어 학습자들과는 달리 한국 L2 학습자들에게는 시제의 습득이 상의 습득을 훨씬 앞섰다.
    둘째, 영어 노출 시간 수에 비례하여 고등학교 집단에서 상대시제체계 개념의 전체적인 습득이 유의미하게 이루어졌다. 이는 영어 모국어 학습자들의 습득 경향과 유사하다. 그러나 제한적준거시체계와 자유준거시체계의 경우를 개별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중학교 집단의 경우, 먼 시간 부사/가까운 시간부사 항목과 ‘before’ 구문/‘after’ 구문 이해 항목에서는 고등학교 집단보다 우월한 점수를 획득하여 개별적인 항목에서는 예외적인 경우를 보였다.
    셋째, 영어 노출 시간 수에 비례하여 시제와 상의 이해력 습득이 균형있게 이루어졌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 시제와 상의 측정 항목 간 이해력 차이가 현저히 나는 현상을 보인 반면에 고등학교의 경우, 시제와 상의 개별 항목 당 이해력 차이가 축소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전반적인 습득 경향을 보았을 때, 고등학교 집단이 절대시제체계에서 상대시제체계로의 습득 전환을 경험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cquisition of English tense and aspect system of Korean learners of English aged 8 to 19. 120 students are categoriz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school-age, labeled as an elementary school group, a middle school group, and a high school group. They were interviewed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to examine changes in comprehension(receptive) test scores for tense and aspect systems of three temporal systems, such as Event Time, Restricted Reference Time and Free Reference Time. A two-choice sentence-picture matching task was given.
    The results of the test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past/future contrast sentences and also no statistical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perfect/non-perfect tense contrast sentences, both of which belong to event time system. Secondly,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distant/close time adverbial contrast sentences and also no statistical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present perfect/past contrast sentences, both of which belong to restricted reference time system. Thirdly,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F=3.240, p<.05) among the three groups in ‘before/after’ contrast sentences and also statistical meaningful differences(F=5.890, p<.01) in the simple past/past-perfect tense contrast sentences, both of which belong to free reference time system.
    From the results, first, it is concluded that tense acquisition does not accompany aspect acquisition among Korean learners of English. It contradicts the presupposition that both tense and aspect acquisition can be achieved in the beginning stage of language learning among L1 learners. Secondly, in terms of learning a more complicated tense and aspect system, namely, relative location system, a high school group obtained better scores th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groups, even though not all of the measured items belonged to the relative location scored consistently enough to support the result. Therefore, the results reveal that conceptual development accompani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emporal location and the specific properties of individual languages affect language lear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