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배당의 미래이익 예측력과 외국인투자자 (The effect of foreign ownership on the association of dividend changes and predictability of future earning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3.12
27P 미리보기
배당의 미래이익 예측력과 외국인투자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금융지식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금융지식연구 / 11권 / 3호 / 71 ~ 97페이지
    · 저자명 : 강태구, 이창우, 남혜정

    초록

    본 연구는 배당의 미래이익 예측력이 외국인 투자자들의 지분율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검증하였다. 일반적으로 배당지급은 기업의 미래이익을 예측하는 데 유용한 정보로 여겨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실증연구결과들은 혼재되어 있다. 또한 배당의사결정과 관련된 연구들은 투자자들의 배당선호현상에 따라 기업의 배당의사결정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배당의사결정에 외국인투자자가 미치는 영향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특정투자자집단의 배당요구가 높은 경우, 기업의 배당의사결정이 미래이익에 대한 사적정보의 전달수단이기 보다는 단기적으로 배당에 대한 투자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결과로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나아가 이러한 배당의사결정은 배당의 미래이익 예측력을 낮게 만들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배당의 미래이익 예측력을 재검증하고, 나아가 외국인지분율에 따라 배당의 미래이익예측력이 달라지는지 검증하였다. 먼저, 배당의 미래이익 예측연구들은 자기자본이익률(ROE)의 평균회귀(mean reverting)현상과 배당증가 또는 배당감소가 이익변화에 미치는 비대칭적 영향을 고려하고 있으나, 이익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변수들을 통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기업규모(SIZE), 성장성(SGR), 부채비율(LEV), 그리고 연도더미를 추가하여, 이를 통제하고 난 후에도 배당의 미래이익예측력이 여전히 존재하는지 검증하였다. 둘째, 배당의 미래이익 예측력이 기업의 배당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집단에 의하여 달라지는지 검증하였다.
    2000년부터 2007년까지 배당지급을 한 6,720 기업-년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기본모형뿐만 아니라 여러 통제변수를 포함한 모형에서도 우리나라 기업들의 배당변화는 미래 1년 뒤의 이익변화와 유의한 양의 관계를 나타냈으나, 미래 2년 뒤의 이익변화와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이익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추가한 모형의 설명력(R2=0.46)이 기본모형의 설명력(R2=0.28)보다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는 외국인지분율을 통제할 경우,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는 기업의 배당의사결정이 미래전망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기보다는 특정투자자집단의 배당요구를 반영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우리나라의 경우, 배당의사결정이 외국인투자자들의 배당요구를 반영하여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외국인투자자와 배당성향간의 동시적인 관계에 대한 결과들을 제시한 반면에, 외국인투자자가 우리나라 기업들의 배당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배당의 미래이익예측력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dividend payout predicts future earnings and the predictability varies depending on the proportion of investors.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foreign inves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vidend change and the predictability of future earnings in Korean firms. Reasoning from the hypothesis that dividend changes convey new information about a firm’s future profitability, a dividend increase is seen as a positive signal about the firm’s future earnings and profitability. However, the results from prior studies are controversial. Some papers have suggested that dividend changes would mean different things depending on a firm’s dividend policy and the motives behind its managers’ decision to pay dividends. In addition, a firm's governance is considered as one of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s dividend policy. In the Korean security market, foreign investors owned about 38% of the stock in 2007. As the percentage of foreign ownership had grown, many researchers have analyzed the effect of this ownership on dividend policy. However, prior studies found mixed results and have focused on the association between foreign investors and the level of the dividend or dividend change. They also suggest that predictability of dividend on future earnings is influenced by applied assumption on earnings and other factors like governance as well.
    We revisit the dividend signaling issue in the light of the catering theory of dividends suggested by Baker and Wurgler (2004). Lintner (1956) argued that managers unwilling to change payout ratio without any important change on the firm’s future performance. Won and Kim (1992) report that managers are more likely to be concerned about the internal factors such as net income, divisible surplus, predicted future performance, and the shareholders’ preference for dividend policy. More importantly, several studies suggest that the foreign inves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Korean market. Park (2004) reports that foreign investors’ participation in firms generally pushes up the dividend payments while pulling down investments made in facilities no matter which industry a company is in. Sul and Kim (2006) show that those companies whose majority shareholders are foreign investors tend to pay higher dividends than others whose majority shareholders are domestic investors. In contrast to negative effect of foreign investor, there are empirical studies claiming positive impact of foreign investor in Korean market. Ahn, Shin, and Chang (2005) suggest that foreign investors prefer firms with lower information asymmetry. The study also shows that foreign investors can effectively monitor the management of firm in lessening information asymmetry. Similarly, Park and Lee (2006) suggest that foreign investors’ participation in investment of domestic firms can help them make more efficient management decision by improving their corporate governance. Thus, Park and Lee claim that it is problematic to generalize the negative role of foreign investors in the Korean market.
    Based on this argument, we predict that if foreign investors play an effective monitoring role in a dividend policy, dividend change for firms with higher level of foreign investors is a good indicator in predicting future earnings than for firms with lower level of foreign investors. However, if foreign investors play a negative role in dividend decision process, predictability of dividend decreases. We test this prediction by using the modified model with several control variables that can affect earnings changes. Using 6,720 observations from 1993 to 2007, we find that the dividend change predicts future earnings for next one year relative to the dividend change year. Specifically, the coefficient on RDIV is 0.045 (t=6.85) and this indicates the dividend increases is a good indicator in predicting future earnings. When it comes to model specification, adjusted R2 of modified model is greater than that of the basic model, which means that the modified model is well specified in explaining earnings changes. The result of the effect of foreign investors on predictability of dividend is not significant. This finding implies that managers, on average, decide to pay dividend as a response to demand from foreign invest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금융지식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