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國遺事≫ 王曆에 나타난 기년인식의 배경 (The Resource of Chronological Consciousness in Samgukyusa Wangryeok)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4.12
53P 미리보기
≪三國遺事≫ 王曆에 나타난 기년인식의 배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32호 / 169 ~ 221페이지
    · 저자명 : 이부오

    초록

    본고는 ≪삼국유사≫ 왕력에 반영된 기년인식의 배경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찬자는 ≪삼국사기≫ ‘연표’의 즉위년칭원을 수용했지만, 재위기간 말년의 제외를 원칙으로 삼아 재위기간의 합과 왕조의 존속기간을 일치시키려 했다. 그 결과 ‘연표’를 일부 보완하는 성과를 거두었지만, 저본의 유년칭원과 즉위년칭원에 대한 정리의 일관성과 치밀도가 부족했다. 그 결과 연호와 재위기간에서 일부 누락, 중복, 침범, 오류가 발생했고, 말년 제외의 원칙도 적지 않게 무시되었다.
    왕력은 ‘연표’를 기초저본으로 삼았으나, 여타 저본을 함께 활용했다. 다양한 기년 오류는 이러한 노력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왕력과 기이편의 기년이 적지 않게 다른 것은 저본의 상당 부분이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왕력의 찬자는 기이편을 참고자료로 삼았을 것이다. ≪역대연표≫는 기재 요소와 내용에서 왕력과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왕력의 찬자는 ≪역대연표≫를 보조저본으로 삼았다고 판단된다.
    여타 저본에서도 삼국의 왕대는 왕력과 대체로 유사했지만, 별도의 기년을 적용한 고기류도 왕력에서 활용되었다. 그 중에는 유년칭원과 즉위년칭원을 사용한 자료가 공존했다. 신라에서는 원래 유년칭원법을 사용했는데, 9세기경부터 즉위년칭원이 사용되기 시작해 고려로 이어졌다. 이러한 변화가 고기류에서 칭원법과 기년의 불일치를 초래하였다. ‘연표’가 이를 즉위년칭원으로 비교적 일관되게 정리한 반면, 왕력 찬자는 기년정리의 일관성이 부족한 편이다. 결과적으로 왕력은 고기류 단계에서 이루어진 칭원법 변화를 오히려 원자료에 가깝에 담아낸 셈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resource of chronological consciousness in ≪Samgukyusa≫ Wangryeok. The author accepted the first year-accession of ≪Samguksagi(三國史記)≫ Yeonpyo(年表), but excluded the last year of the reign. As a result, some problems shown in Yeonpyo were complemented, but the author was unapt to describe the first year-accession and the second year-accession in the text coherently.
    So those problems such as omission, duplication, trespass, and error occurred in the era name and the reign.
    Yeonpyo was used as a main text in Wangryeok, but other secondary texts were also used. Many chronological errors were the result of this. The chronology of Wangryeok is different from the one applied in Giipyeon(紀異篇)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ose texts of two Chapters. However, the author of Wangnryeok used Giipyeon as a reference. ≪Yeokdaeyeonpyo(歷代年表)≫ is different from Wangnyeok in terms of contents, but it was utilized as an additional text by the author of Wangnyeok.
    The number of the thrones of Three Kingdoms in other texts was generally similar to Wangnyeok, but Gogi(古記) based on the other chronology was also used. Among these are texts using the first year-accession and the second year-accession. Originally the second year-accession had been used in The Silla Dynasty, but the first year-accession was used since ninth century approximately. These changes caused a chronological discrepancy among Gogi. Yeonpyo described the chronology coherently using the first year-accession, while Wangnyeok lacked chronological coherence. But Wangnyeok kept the change of accession calculation method in Gogi close to the origin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