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해력, 국어능력, 문학능력 (Literacy, Korean Language Competence, Literary Compete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1.08
29P 미리보기
문해력, 국어능력, 문학능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국어교육 / 46호 / 41 ~ 69페이지
    · 저자명 : 김상욱

    초록

    Literacy는 국어교육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영역에서 주요한 용어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그 용어의 의미는 확정되어 있지 않고 마치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꿈틀거리며 변화하고 있다. 처음 문자의 해독과 직결되어 있었던 Literacy는 언어를 생성하고 수용하는 모든 능력으로 확장되었으며, 국어능력과 다를 바 없는 폭 넓은 외연을갖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국어능력의 개념을 국어교육의 목표로 확정할 때, 우리는새삼 그동안의 국어교육이 지나치게 협소한 지형 위에서 허우적거렸음을 지적하지않을 수 없다. 국어의 도구적 성격을 강조하거나 언어 활동을 명확하게 영역으로 구획하여 가르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장르를 전면에 내세움으로써, 이들 문제의 해결에 한 걸음 더 나아갔다는 사실이다. 물론 미처 해결되지 못한 과제들 또한 만만치 않다. 그럼에도 교육과정을 둘러싼 논의가 일부 연구자의 전유물이 아니라, 광범위한 이해와 동의 속에서 개진되고 있음을 생각할 때 조금씩 발전적으로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
    문학교육 역시 이와 같은 변화와 발전에 나란히 어깨를 기대고 진전되어야 할 것이다. 아니 오히려 국어교육 전반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나가는 기본적인 시각과 행로를 열어가는 견인차의 역할을 기꺼이 떠맡아야 할 것이다. 그러자면 문학능력의 개념을 다시 복원시켜 문학교육의 이념과 목표를 명확하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명료한 위계 속에서 교육과정의 내용을 확정해야 한다. 현재의 고립되고 분절된성취기준의 제시로는 결코 문해력 실천으로서의 문학교육이란 이상적인 면모를 달성하기 어렵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행되는 문학교육은 가능한 한 읽기/쓰기/듣기/말하기 등의활동 영역을 언제나 아우르는 방향으로 진척되어야 한다. 문학텍스트를 중심에 둔다채로운 이해, 분석, 해석, 평가 등의 문학 활동들이 읽기/쓰기/듣기/말하기 등의언어 활동 모두를 아우르지 못한다면, 이미 실제적인 교육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문학교육이 궁극적으로 대화적이며, 이 대화는 언어 활동 모두를 통해 골고루이루어져야 한다.

    영어초록

    Literacy has been the popular word in many areas as well as in the f irst language acquisition. But it is not easy to pin down the term since it changes and evolves like a living thing. At first, ‘literacy’ means decoding of written letters, but now it extends to the ability to generate and apprehend the langu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delimited its boundaries too narrow and accordingly it overemphasize the instrument-based, strictly divided area teaching. Revised 2007 nation curriculum has been the starting point for improvement of these problems by taking the notion of genre in the core.
    Literary education should keep pace with these advance and development.
    Rather, literary education should play a major role in presenting basic perspectives and direction for overall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do this,literary competence should be defined clearly and the curriculum needs to be established on the rank of ideas and goals of literary education.
    In the instructional aspect, literary education should proceed to involve reading,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If comprehension, analysis,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literary activities exclude the 4skill-based activities, literary education fails to achieve its ultimate purpose. Literary education, in the end,is dialogic and this dialogue should be performed through all language activ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국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