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중대의 선법 전래와 나말 려초의 구산선문 형성- 북종선과 남종선의 전래와 안착 - (Propagation of Seon in Mid Silla Age and Formation of the Nine Mountain Sect of Seon in Early Goryeo Age - Introduction and Settlement of Northern School and Southern School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4.08
32P 미리보기
신라 중대의 선법 전래와 나말 려초의 구산선문 형성- 북종선과 남종선의 전래와 안착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44권 / 187 ~ 218페이지
    · 저자명 : 고영섭

    초록

    이 논문은 신라 중대의 북종선(北宗禪) 전래와 하대의 남종선(南宗禪) 수용 및 안착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당시 불교계와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던 정계 왕족들에게 밀려난 방계 왕족과 두품 귀족 출신 및 그 자녀들은 새로운 사상과 새로운 탈출구를 모색하였다. 이들에게 접목된 새로운 사상은 선종(禪宗)이었고 새로운 탈출구는 당나라였다. 정계 왕족들에게 밀려난 방계 왕족들과 두품 귀족들은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는 ‘출사’(出仕)와 자기의 면목을 찾기 위한 ‘출가’(出家)를 위해 당나라로 향하였다. 당대(唐代) 선법의 황금시대에 참여하였던 출가자들은 자기를 성찰하고 자신을 확립하는 선법에 매료되었다.
    그들은 치열한 수행과 빼어난 지혜로 당대 선법의 정수를 흡수하였다. 이들은 법랑(法朗)-신행(神/信行)-준범(遵範)-혜소(惠炤)-법량(法諒)/혜은(慧隱)-지증(智證)-양부(楊孚)로 이어지는 북종 선법과 접목하였고, 뒤이어 도의(道義)가 전해 온(821) 남종 선법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다. 도의에 이어 귀국한 남원 실상사의 홍척(洪陟)과 곡성 동리산의 혜철(慧徹) 그리고 상주 장백사에서 하동 쌍계사로 옮긴 혜소(惠炤) 등은 왕실의 극진한 존경과 함께 지방 호족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하지만 삼국 통일 이후 신라 사상계를 주도하였던 화엄학승들은 현실의 모순을 해결하려는 사상 전개의 노력을 보이지 않고 안으로는 지배세력의 보호아래 안주하면서 선학들의 저술들에 대한 훈」고학적인 주석학에 빠져있었다. 밖으로는 선왕들의 봉덕(奉德)과 추선(追善) 공양(供養) 의례에만 관심을 두었다. 방계 왕족들도 자신들의 선왕 열조를 봉덕하기 위해 사찰을 축조하는 일에만 힘을 기울였다.
    구산선문의 개조 및 개산조들은 왕실의 화엄교단에 맞섰던 방계 왕족들과 중앙의 진골 귀족들과 연루된 지방호족들의 도움에 의해 수도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터를 잡았다. 방계 왕족들과 귀족들은 산문 건립을 지원하면서 새로운 집단을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산문의 형성은 중앙 왕실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졌다. 그 결과 비교적 중앙의 통제에서 자유로웠음에도 불구하고 산문은 왕실 주변의 화엄교학과 마찬가지로 인적 물적 토대 등에서 왕실과 깊이 연루될 수밖에 없었다. 각 산문의 개조 혹은 개산조들과 그 제자들이 처한 정치적, 경제적 상황에 따라 기존의 중문-탑-금당-강당-회랑의 평지가람 배치방식을 그대로 활용한 예들도 이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들 선사들은 중국의 북종과 남종을 수입하면서도 그 안에는 독자적인 가풍을 담았다. 무염의 유설토(有舌土) 무설토(無舌土)론과 종래 선법의 단초를 새롭게 해석해낸 범일의 진귀조사(眞歸祖師)설, 도선의 무설지설(無說之說) 무법지법(無法之法), 순지의 표상현법(表相現法)과 삼변성불편(三遍成佛篇)에 기초한 위앙선풍(潙仰禪風) 등은 중국선과 한국선과 변별되는 독자적인 시선을 열었다. 이들의 사상들은 인간들의 삶의 구체적인 층위들에 다가가지 못하는 화엄교학과 달리 인간들이 직면하고 있는 삶의 구체적인 층위들에 섬세하게 다가가 문제를 해결해 주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구산선문의 선사들은 이 땅에 살면서 이 땅 사람들이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여 이 땅(海東)의 선(禪)으로 정착시켰다. 따라서 신라 중대 북종의 전래와 하대 남종의 수용으로 형성된 나말 여초의 구산선문은 이들 선사상의 한국적인 집대성(集大成)이자 한국선의 구심점(求心點)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introduction of northern school seon in mid Silla age and settlement of southern school seon in late Silla age. Collateral-line royal family and dupum noble went to Tang to 'go into government service' to show their abilities and 'to become a Buddhist' to find out their real figures. The Buddhists who participated in the golden age of seon were fascinated by sean to check and establish themselves. They absorbed the essence of seon through intense training and outstanding wisdom. They were linked to northern school seon connected to Beoprang-Sinhaeng-Junbeom-Hyeso-Beopryang/Hyeeun-Jijeung-Yangbu. After they paid attention to southern school seon introduced by Doui later. Hongcheok of Namwon Silsangsa and Hyecheol of Gokseong Dongrisan that came back to Korea after Doui did and Hyeso who moved from Sangju Jangbaeksa to Hadong Ssyanggyesa were welcomed by royal family and local powerful family.
    Hwaeom school monks, who led the psychological world of Silla after Unification, did not show the effort to solve reality contradiction but devoted themselves to exegetical comment about the books of previous scholars while staying at the protection of ruling power internally. They only had interest in virtue of previous king, mass for the dead and offering ceremony externally. As the power was concentrated on the direct line royal family who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Buddhist world, collateral line royal family, dupum noble and their children searched for new concept and new exit. A new concept connected to them was seon and a new exit was Tang.
    Founder and founder of Buddhist temple of nine mountain sect of seon chose their residences far away from capital thanks to collateral royal family and local powerful family related to central jingol noble. While supporting the construction of temple, collateral royal family and noble formed a new group. However the temple was formed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central royal family. As a result, although the temple was relatively free from central control, it was closely related to royal family in terms of manpower and material foundation like Haweom school around royal family.
    The priests imported nothern school and southern school of China and contained unique trend in the schools. Muyeom's To have speech land(有舌土) and Without speech land(無舌土) theory, Beomil's seon master of Jingui(眞歸祖師) theory, Doseon's Without speech of speech(無說之說) theory and Without teaching of teaching(無法之法) theory and Sunji's Kuei-ang seon style(潙仰禪風) opened a unique horizon, which is discriminated from Chinese seon. Unlike Haweom that does not access specific layer of human life, they tried to access the specific layer of life that humans are facing to solve problem. In this way, the priests of nine mountain sect of seon solved various problems faced by Korean people and settled it as seon of Korea. Therefore, the formation of nine mountain sect of seon that was originated from the introduction of northern school in mid Silla age and settlement of southern school in early Koryeo can be a Korean collection of seon and pivot of Korean 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