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신보건전문가의 경험을 통한 만성정신질환자의 레질리언스 강화전략 탐색 연구 (Study on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Resilience of People with Chronic Mental Illness through Professionals’ Experience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2.09
29P 미리보기
정신보건전문가의 경험을 통한 만성정신질환자의 레질리언스 강화전략 탐색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 40권 / 3호 / 202 ~ 230페이지
    · 저자명 : 최명민

    초록

    동일한 정신질환 병명과 비슷한 질병상태에도 불구하고 환자에 따라 그 이후의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은 각 환자의 레질리언스 발현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서비스 제공자가 레질리언스를 강화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느냐가 정신보건의 중요한 이슈임을 말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보건전문가들이 그들의 성공적인 현장 사례들에서 어떻게 만성정신질환자의 레질리언스를 강화해 왔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1차 7명의 정신보건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개별면담과 2차 4명으로 구성된 포커스 그룹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신보건전문가들은 때로는 모호하기도 하지만 회복, 취업, 역할정립, 인간적 성숙 등에 도달하기 위하여 레질리언스를 강화해 가고 있다고 하였으며, 이를 강화하는 전략으로는 ‘가능한 모든 것을 동원하여 계기를 만들기’, ‘지지적인 환경체계 확보하기’, ‘실패를 허용하되 최대한 버티기’, ‘각종 장애물 넘기’, ‘작은 성공경험 조금씩 쌓아가기’, ‘성찰하며 곁에서 함께 하기’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만성정신질환자 레질리언스 강화전략의 핵심 주제는 ‘틀에 얽매이지 않는 창의력과 포기하지 않는 끈기로 가능성의 불씨를 키워가는 과정에서 성찰하며 함께 하는 동반자 되기’로 귀결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그동안 간과되어 온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 레질리언스 강화전략을 경험적으로 도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Although People with Chronic Mental Illness(PCMI) have same psychiatric diagnosis and symptoms, the progresses are ver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resilience developed. This study is to explore effective strategies of strengthening resilience which mental health professionals have developed and experienced through interacting with PCMI. For the study, the data from the professionals were collected through intensive interviews with 7 individuals sampled purposely and a focus group consisted of 4 participants.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ased on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Statements were categorized to central ideas as the strategies: making opportunity by mobilizing all that are easy to be dismissed but possible, securing supportive environment system, holding out as long as possible with permitting and learning from failure, managing to overcome diverse obstacles, making achievements little by little, being with PCMI as a companion with reflection for long. In its final analysis, the central phenomenon of strengthening PCMI’s resilience as a professional is ‘being a companion with creativity free from the pre-existing frame, pertinacious patience, and reflection through the process making tiny things significa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신건강과 사회복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