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융합적 코드 분석을 통한 알렉산드로 미켈레의 디자인 아이덴티티 특성 연구 (A Study on Alessandro Michele’s Characteristics of Design Identity through Convergence Code Analysi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20.06
14P 미리보기
융합적 코드 분석을 통한 알렉산드로 미켈레의 디자인 아이덴티티 특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6권 / 2호 / 207 ~ 220페이지
    · 저자명 : 백정현, 배수정

    초록

    알렉산드로 미켈레는 ‘무규칙, 무성(性), 무시대’를지향하는 스타일을 선보임으로써 구찌의 새로운 스타일을 정립하였으며, 상반된 이미지들이 겹겹이 융합된스타일로 이분법적인 사고에서 벗어난 복합문화에 대한 지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알렉산드로 미켈레의 작품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인 융합적 코드의 유형분석을 통해 미켈레 디자인의 아이덴티티를 파악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브랜드의 성공적 리브랜딩을 이끈요인을 고찰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는 문헌연구와 사례연구의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는 구찌와 알렉산드로 미켈레, 브랜드 아이덴티티,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등에 관련된 선행연구, 국내일간지의 인터넷 기사를 중심으로 하였다. 사례연구는 구찌의 공식웹사이트(www.gucci.com)에서는 브랜드 및알렉산드로 미켈레와 관련된 자료를, 보그닷컴(www.
    vogue.com)에서는 알렉산드로 미켈레의 2015년 F/W 부터 2020년 F/W까지의 프레타 포르테 여성복 컬렉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알렉산드로 미켈레의 작품에 나타난 융합적 코드 중 젠더의 융합은 남성복과 여성복의 전형적요소를 구분 없이 조형적 요소로 활용하는 것으로, 이제 패션은 개인의 젠더 정체성보다는 미적 정체성을 표현하는 도구가 되었음을 제시하고 있다. 스타일의 융합은 하나의 룩에서 다양한 스타일의 요소들이 중첩되면서 독특한 스타일로 표현되고 있는 것으로, 특히 상반된 이미지의 요소들이 융합되었을 때 규정된 스타일을벗어난 새로움을 주는 효과가 더욱 커지고 있었다. 시간의 융합은 과거 서양 시대복식의 요소를 융합한 것과20세기 패션의 스타일을 차용한 복고적 스타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공간의 융합은 서양을 제외한 국가나민족의 전통복식요소를 활용한 것으로 중국, 티벳, 일본, 아프리칸 스타일이 자주 선보여졌으며, 구찌 컬렉션에 풍부한 색감과 장식적 요소를 더하는 역할을 하고있었다. 문화의 융합은 장르가 다른 예술이나 문화, 상위문화와 하위문화, 인종, 아름다움과 추함과 같은 상반된 요소들의 복합적 표현으로 나타났다.
    융합적 코드로 표현된 알렉산드로 미켈레의 디자인아이덴티티 중 패션인스피레이션의 탈경계성은 인스피레이션의 주제나 조형적 기법 측면에서 이분법적사고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감성이 공존하는 특성으로젠더 뉴트럴, 멀티컬쳐, 뉴트로 스타일의 형태로 나타났다. 다층적 이미지를 통한 맥시멀리즘 스타일은 전혀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요소나 이미지들을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조형적 요소를 풍부하게 하였으며, 멀티 프린트, 대조성이 강한 보색대비, 로맨틱 맥시멀리즘 스타일로 표현되고 있었다. 패션의 아름다움에 대한 가치 확장은 ‘어글리 패션’을 통해 표현되면서 아름다움과 추함은 좋은 것(好)과 싫은 것(不好)이 아니라 다른 취향일 뿐이며, 추함은 아름다움의 반대가 아니라 또 다른 아름다움의 발견일 수 있다는 밀레니얼세대의 미에 대한 가치관을 대변하고 있었다. 착장에서의 자기표현의 유연성은 기존 패션의 틀에서 벗어나 경계와 규칙이 없이 유연하게 옷을 입는 착장의유연성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새로운 세대가 패션을 통해 자신만의 존재감과 감성을 표출할 수 있는기회를 제공했다는 의미를 지닌다.

    영어초록

    Alessandro Michele established Gucci’s new style by introducing a style aiming at ‘irregularity, asexuality and timelessness’, and showed his orientation for complex culture free from dichotomous thinking with an integrated style in layers of conflicting images.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identity of Michele’s design by typological analysis of integrated code, which is the most prominent feature of his works, and, through this, to identify the elements leading successful rebranding of the br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means of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The literature research focused on prior research related to Gucci and Alexandro Michele, brand identity, creative director, and internet articles of domestic daily newspapers. The case study collected data related to brands and Alexandro Michele on Gucci’s official website (www.gucci.com) and on www.vogue.com on Aleksandro Michele’s 2015 F/W to 2020 F/W.
    As the result, the ‘Convergence of Gender’ among the integrated codes shown in Alessandro Michele’s works uses typical elements of men’s and women’s clothing as formative elements without distinction, suggesting that fashion has now become a tool to express aesthetic identity rather than individual gender identity. The ‘Convergence of Style’ is being expressed in a unique style as overlapping elements of various styles in one look, especially, the effect giving newness beyond the stipulated style was getting higher when elements of conflicting images were integrated. The ‘Convergence of Time’ could be divided into retro styles borrowing the 20th century fashion style and the fusion of elements of Western period dress in the past. The ‘Convergence of Space’ using the traditional costume elements of countries and peoples except the West often introduced Chinese, Tibetan, Japanese and African styles, adding rich colors and decorative elements to the Gucci collection. The ‘Convergence of Culture’ was appeared as a complex expression of conflicting elements such as art or culture with different genres, upper and lower cultures, race, and beauty and ugliness.
    The ‘Trans-boundary of Fashion Inspiration’ among Alessandro Michele’s design identities expressed in a convergent code emerged in the form of gender neutral, multi-culture and newtro-style with characteristic coexisting free sensibility from dichotomous thinking in terms of the theme or formative techniques of Inspiration.
    The ‘Maximalism style through overlaying images’ enriched various formative elements by combining seemingly unrelated elements or images and it was expressed in a multi-print, complementary color contrast, and romantic maximalism style.
    As the ‘Extending Value to Beauty of Fashion’ was expressed through ‘Ugly Fashion.’, it represented the Millennial generation’s view of beauty that beauty and ugliness are not a liking or disliking but different taste, and ugliness may not be the opposite of beauty, but the discovery of another beauty.
    The ‘flexibility of self-expression on wearing’ suggests the flexibility of dressing flexibly without boundaries and rules away from the existing fashion framework, and through this, it has a significance to provide an opportunity that the new generation can express its own presence and sensibility through fash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