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용도별 에너지 요구량에 따른 대학 캠퍼스 에너지소비 구조 분석 - H 국립대학 캠퍼스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University Building Energy Consumption Structure Based on Primary Energy Demand - In Case of H National University Campus in Korea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21.06
12P 미리보기
용도별 에너지 요구량에 따른 대학 캠퍼스 에너지소비 구조 분석 - H 국립대학 캠퍼스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건축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37권 / 6호 / 179 ~ 190페이지
    · 저자명 : 조진균, 이영재

    초록

    본 연구는 대학 캠퍼스 에너지흐름과 에너지소비 구조를 정확하게 도출하는 방법론과 프로세스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 건물 용도별 에너지 요구량에 대한 에너지구조는 다양한 건물그룹의 에너지사용 특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므로 대학 캠퍼스의 에너지공급 및 최적 운영을 위한 데이터 제공과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의 범위는 체계적인 프로세스로 에너지구조를 분석하고, 캠퍼스 에너지절약의 전략적인 방향제시를 하는 것으로 결과를 토대로 솔루션과 효과분석은 포함되지 않는다. 연구의 결과로, 대학 캠퍼스 에너지흐름을 5가지로 유형을 표준화하여 모든 대학건물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도출하였다. 대전 소재 H대학을 대상으로 기존 연구에서 구현할 수 없었던 고품질의 캠퍼스 에너지구조를 구현하였고 이를 토대로 에너지효율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캠퍼스 전체의 에너지소비 구조(흐름)분석은 각 건물로 분배되는 에너지원과 사용량에 기본적인 정보는 확보해야 가능하기 때문에 최소의 데이터로 정확한 에너지소비 구조를 구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에너지사용량 데이터를 확보하여도 각 용도별 에너지 요구량과 이에 따른 세부분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건물 용도별 및 세부 기능별로 구분하는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사용 용도별 에너지원에 대한 5가지 표준 에너지흐름 체계를 제시하였다. 설비중심의 캠퍼스 내 에너지흐름 네트워크 구성은 표준 에너지흐름 체계에서 에너지의 세부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로 반드시 정확한 데이터를 근거로 도출되어야 한다. 캠퍼스 에너지소비 구조 분석에는 전공별 점유하는 건물의 에너지소비, 용도별 에너지소비 및 설비 구성별 에너지소비 분석이 포함된다. 건물 용도별로 에너지소비 상태를 파악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이러한 분석은 매우 유의미한 작업이 된다. 캠퍼스의 에너지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하면, 향후 건물의 운영제어, 설비교체 및 건축요소 개선 등 에너지효율 개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2017,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the Korea spend an average of 218,774 toe on electricity and 125,516 toe on natural gas annually.
    University campus energy consumption was second-highest among the building types. Because of the higher energy consumption, energysaving planning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for university campus. However, insufficient energy use data accumulation has been asignificant barrier against fully understanding of energy use characteristics, and demand load features of campus buildings. This study aims todevelop and implement an energy audit protocol to tackle the questions of energy efficiency for education buildings. Many universities haveutilized a statistical data which may not fully capture the energy flow within the individual campus buildings. With the goal of overcomingthese limitations, a methodology to reveal the campus energy flow of demand load and the five standard prototypes of energy flow foruniversity building were developed. Taking H university for example, this paper proposes systematically how to make and analyze thecampus-level energy structure. As a case study, the 3-year energy data of the electricity, natural gas and geothermal usage of a H universitycampus were analyzed by the descriptive statistics. The energy consumption structure in H university is summarized which can provide thebasis for energy saving measures. The methodology for university energy structure analysis presented in this paper can give inspiration for amore thorough energy improvement approach, either for new single buildings or as renovation road-maps for a complete university camp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건축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