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만한 한국 소아청소년에서 간 내 지방량과 흑색가시세포증 중증도와의 상관관계 (Association of Hepatic Fat Deposition and Severity of Acanthosis Nigrican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Obesity)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23.12
7P 미리보기
비만한 한국 소아청소년에서 간 내 지방량과 흑색가시세포증 중증도와의 상관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가정의학회
    · 수록지 정보 :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 13권 / 4호 / 240 ~ 246페이지
    · 저자명 : 이준형, 안혜지, 서영균, 송홍지, 노혜미, 백유진, 박경희

    초록

    연구배경: 비만한 소아청소년에서 인슐린 저항성과 흑색가시포증 또는 간 내 지방량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졌으나 흑색가시세포증 중증도에 따른 간 내 지방량을 비교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특히 소아청소년에서 진행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공명영상을 활용하여 국내 비만한 소아청소년에서 흑색가시세포증 중증도에 따른 간 내 지방량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 체중 조절 중재 프로그램인 ICAAN 연구에 참여한 7–16세 소아청소년 총 225명(남 154명, 여 71명)을 분석하였으며, 모든 대상자는 신체계측, 혈액 검사, 자기공명영상를 통한 간 내 지방량, 복부내장지방량을 측정하였다. 흑색가시세포증의 중증도에 따라 3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공분산분석 및 일반 선형 회귀 모델을 활용하여 중증도에 따른 간 내 지방량과의 선형 관계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흑색가시세포증의 각 군을 성별, 연령으로 보정하여 비교한 결과 흑색가시세포증의 중증도가 높은 그룹으로 갈수록 간 내 지방량(%)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그룹 1: 11.63±1.07, 그룹2: 15.40±1.17, 그룹 3: 23.00±1.95; P for trend< 0.001). 또한 BMI z-score (P for trend<0.001), HOMA-IR (P for trend= 0.011), 복부내장지방량(P for trend<0.001)을 각각 다른 모델에 추가하여 보정하였을 때에도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국내의 비만이 동반된 소아청소년에서 흑색가시세포증은 인슐린 저항성 및 대사증후군 위험군뿐 아니라 지방간질환 여부를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간접적인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hepatic fat deposition and the severity of acanthosis nigricans (AN)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obesity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Methods: A total of 225 participants (154 males and 71 females) aged 7–16 years were recruited between 2019 and 2020 from the Intervention for Childhood and Adolescents obesity via Activity and Nutrition (ICAAN) study. All participants underwent physical assessment and blood tests, and MRI was used to measure hepatic fat (%) and visceral adipose tissue (VAT, cm2) deposition. The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AN: grade 0 (n=107), grade 1–3 (n=88), and grade 4 (n=30). After correcting for covariates, the mean deposition of hepatic fat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AN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and linear regression model.
    Results: The proportion of hepatic fat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severity of AN (Group 1: 11.63±1.07, Group 2: 15.0±1.17, Group 3: 23.0±1.95, P for trend <0.001). In addition, a significant increase in hepatic fat (%) with the severity of AN was observed when body mass index z-score (P for trend <0.001),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 (P for trend=0.011), and VAT (P for trend <0.001) were included in the model.
    Conclusion: Hepatic fa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f A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obesity, suggesting that AN may be an efficacious indirect indicator for estimating the presence of insulin resistance, metabolic syndrome, and fatty liver dise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