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신지체, 자폐 및 뇌성마비 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영양소 섭취량 비교 (Comparison of nutrition intakes between disabled children (mental retardation, autism and cerebral palsy)and non-disabled children)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04.04
14P 미리보기
정신지체, 자폐 및 뇌성마비 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영양소 섭취량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9권 / 2호 / 121 ~ 134페이지
    · 저자명 : 김은경, 김은미

    초록

    서울지역 특수학교 초등부 장애아동 86명과 인근지역 일반 초등학교 아동 127명(대조군)을 대상으로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여 각각의 장애유형별로, 그리고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간에 비교하였다.
    1) 뇌성마비 아동의 비타민 B1, 레티놀 및 비타민 E의 단 위 체중당 섭취량은 비장애아동, 정신지체 및 자폐아동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 < 0.05), 단위 체중당 기타 영양소 섭취량은 장애유형간에, 그리고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의 %RDA는 장애아동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뇌성마비 아동의 권장량에 대한 에너지 섭취 비율은 69.1 ± 15.4%로 자폐아동(93.5 ± 21.0%) 및 비장애아동(89.6 ± 23.4%)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3) 뇌성마비 아동의 에너지 및 비타민 B1 섭취의 NAR 은 정신지체, 자폐 및 비장애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비타민 A 섭취의 NAR은 정신지체, 자폐 및 뇌성마비 아동모두에서 비장애아동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4) 뇌성마비 아동의 비타민 A(1.19 ± 0.47)와 엽산(1.60 ± 0.60) 섭취의 INQ값은 정신지체, 자폐 및 비장애아동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5) 정신지체아동과 자폐아동의 점심식사로부터의 에너지, 당질 및 단백질 섭취 비율은 아침 식사나 저녁식사로부터의 섭취 비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6) 본 연구대상자 전체(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모두) 를 %RDA 기준으로 크기 순으로 정렬한 후, 상위 1/3군과하위 1/3군에 포함된 아동들을 다시 장애유형별로 분류하고, 이들이 상위 1/3군과 하위 1/3군에 해당되는 비율을 비교해 본 결과, 정신지체아동은 비장애아동과 마찬가지로 두군(상위 1/3군과 하위 1/3군)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으나, 뇌성마비 아동은 하위 1/3군에, 자폐아동은 상위 1/3군에해당되는 비율이 더 많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장애아동은 정신지체, 자폐, 뇌성마비 등의 장애유형별로 특징적인 영양섭취 패턴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즉, 뇌성마비 아동은 저 영양상태의 위험요인을, 자폐아동은 과잉영양상태의 위험요인을 가지고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애아동 중 뇌성마비 아동이절대적인 영양소 섭취량이나 %RDA에서는 가장 낮은 섭취량을 보여주었으나, 단위 체중당 영양소 섭취량은 장애유형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장애유형, 섭식장애의 정도, 신체활동 정도 등을 고려한 장애아동을 위한영양권장량이 별도로 제정되고, 이에 대한 식사지침 등이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장애아동의 식사 섭취 조사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단 하루의 식품 섭취량만을 조사하여 보고한 것이 본 연구의 제한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더욱 객관적인 조사 방법(특히, 조사기간)이 적용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어느 정도의 신체활동이 가능한 경증의 뇌성마비 아동만이 포함되었으나,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영양 취약의 가능성이 더욱 큰 중증 뇌성마비 아동에 대한 연구 뿐만 아니라, 장애아동의 식품섭취패턴 및 식행동을 장애유형별로 분석하는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짐으로서 이들을 위한 식사지도 및 영양보충 방법이 연구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nutrient intakes of disabled children and non-disabled children. Subjects consisted of 86 disabled children from a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127 non-disabled children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Nutrient intakes were assessed by modified 24-hr recall method, with the help of children’s parents and teachers. Almost all nutrient intakes (energy, protein, fat, carbohydrates, vitamin B1 and niaci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But nutrient intakes per body weight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ose of other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in almost % RDA (rate of actual intake to RDA) except of energy %RDA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NARs (nutrient adequacy ratio) for energy and vitamin B1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hildren with autism and mental retardation, and non-disabled children. The proportions of energy, carbohydrate and protein intakes from lun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rom breakfast and dinner i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autism. The nutrient intakes of disabled children were different between other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handicap. For exampl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had the risk of undernutrition. On the other hand, autistic children had the tendency of overnutr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nutrition educational programs and educational materials for disabled children, their teachers and their parents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the type of handicap.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9(2) : 121 ~ 134, 2004)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