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부산지역 남, 녀 노인들을 대상으로 신체조성, 신체활동수준, 활동에너지 소비패턴, 기초대사량 및 에너지소비량실태를 파악하고, 연령 및 신체활동수준과 신체조성, 기초대사량 및 에너지소비량 간의 관계를 평가하여, 노인들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 연령은 74.8세로 남자 75.1세, 여자 74.6세였으며, 제지방량(p<0.001)은 남자(49.4 kg)가 여자(38.5 kg)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체지방량(p<0.001)과 체지방률(p<0.001)은 여자(18.4 kg, 32.1%)가 남자(14.8 kg, 22.7%)보다 각각 유의하게 높았다.
2) 1일 생활활동 패턴을 살펴보기 위해 수면, 매우 약한활동(휴식, 여가활동), 약한 활동(저강도활동), 보통 활동(중강도활동), 강한 활동(고강도활동)의 5단계 활동단계별소요시간을 분석한 결과 1, 2단계에 남자 91.5%, 여자93.2% 소비하였으며, 3, 4, 5단계에 남자 8.4%, 여자 6.7% 소비한 것으로 나타나 수면과 매우 약한 활동단계에 대부분의 시간을 소요하였다.
3) 평균 신체활동수준은 남자(1.59)가 여자(1.53)보다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남, 녀 모두 저활동적에 해당되었다. 하루 생활활동패턴면에서 2단계에 해당되는 매우 약간 활동에 소요된 시간은 여자(942.1분)가 남자(907.2분)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5단계의 강한 활동에 소요된 시간은 남자(14.4분)가 여자(5.0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따라서 신체활동수준과 하루 생활활동 패턴면에서 활동단계별 소요시간은 남, 녀 노인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계산방식별 기초대사량 평균값은 남, 녀 모두 Inbody 720측정치(1436.7 kcal, 1201.3 kcal), DRI제정도입 공식(1390.7 kcal, 1164.2 kcal), H-B 공식(1257.2 kcal, 1132.5 kcal) 순으로 나타났으며, Inbody 720측정치, DRI 제정도입 공식, H-B 공식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기초대사량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p<0.001, p<0.001).
5) 계산방식별 평균 1일 에너지소비량은 남자의 경우Inbody 720측정에 의한 에너지소비량 값(2291.6 kcal), DRI제정도입 공식에 의한 에너지소비량 값(2215.3 kcal), DRI 에너지추정량 공식값(2131.7 kcal)은 65세 이상 남자노인의 에너지 영양섭취기준값(2000 kcal)보다 높았으나, H-B 공식에 의한 에너지소비량 값(1986.7 kcal)는 에너지 영양섭취기준값 보다 낮았다. 여자의 경우 Inbody 720 측정에 의한 에너지소비량 값(1836.6 kcal), DRI제정도입공식에 의한 에너지소비량 값(1772.6 kcal), H-B 공식에의한 에너지소비량 값(1730.1 kcal), DRI 에너지추정량 공식값(1709.8 kcal) 순으로 나타났는데, 4가지 방법론에 의한 에너지소비량 값 모두 65세 이상 여자노인의 에너지 영양섭취기준값(1600 kcal)보다 높았다.
6) 기초대사량과 1일 에너지소비량은 각각 계산방식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기초대사량과 1일 에너지소비량 모두 Inbody 720측정에 의한 경우가 유의하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p<0.001).
7) 연령이 증가할수록 남, 녀 모두 신장(p<0.001, p< 0.001), 제지방량(p<0.001, p<0.001) 및 계산방식에 따른 기초대사량 즉 H-B 공식 기초대사량(p<0.001, p< 0.001), DRI제정도입 공식 기초대사량(p<0.001, p< 0.001), Inbody 720측정 기초대사량(p<0.05, p<0.01)과1일 에너지소비량 즉 H-B 공식에 의한 에너지소비량(p<0.001, p<0.001), DRI제정도입 공식에 의한 에너지소비량(p<0.001, p<0.001), Inbody 720측정에 의한 에너지소비량(p<0.05, p<0.05), DRI 에너지추정량(p<0.001, p<0.001)이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8) 신체활동수준이 증가할수록 남자의 경우 제지방량(p<0.05) 및 Inbody 720측정 기초대사량(p<0.05)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여자의 경우 체지방량(p<0.05)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신체활동수준이 증가할수록 남, 녀 모두계산방식에 따른 1일 에너지소비량 즉 H-B 공식에 의한 에너지소비량(p<0.001, p<0.001), DRI제정도입 공식에 의한 에너지소비량(p<0.001, p<0.001), Inbody 720측정에의한 에너지소비량(p<0.001, p<0.001), DRI 에너지추정량(p<0.001, p<0.001)은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9) 계산방식에 따른 기초대사량 간의 상관관계는 DRI제정도입 공식에 의한 기초대사량 값과 다른 계산방식에 따른기초대사량 값 간의 상관성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계산방식에 따른 에너지소비량 간의 상관관계도 DRI제정도입 공식에 의한 에너지소비량 값과 다른 계산방식에 따른 에너지소비량 값 간의 상관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상의 본 연구결과에서 노년기의 연령에 따른 신체조성, 기초대사량 및 에너지소비량 변화는 남, 녀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신체활동량수준에 따른 신체조성과 기초대사량의 변화는 남, 녀 노인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자의 경우 신체활동수준이 증가할수록 제지방량이 증가하고기초대사량도 Inbody 720측정에 의한 기초대사량 값만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신체조성 중 제지방량변화에따른 기초대사량의 변화를 Inbody 720측정에 의한 기초대사량 값이 반영하였음을 알 수 있겠다. 또한 신체활동수준 증가에 따른 신체조성변화에서 남자의 경우 제지방량이 유의하게 증가하고, 여자의 경우 체지방량이 유의하게 감소하는것으로 나타나 노인들의 신체활동수준을 증가는 장기적인 측면에서 노년가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가 부산지역의 적은 인원수를 대상으로 짧은기간에 횡단연구로 실시되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는 제한이 있으나 일상 생활속에서 남, 녀 노인들의 신체조성, 신체활동수준, 기초대사량 및 에너지소비량에 대한 기초자료로제시될 수 있겠으며, 신체활동수준과 신체조성 간의 관계에대한 결과는 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영양교육에 구체적인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노인들의 신체조성, 신체활동수준, 기초대사량 및 에너지소비량 실태와 연령및 신체활동수준과 신체조성, 기초대사량 및 에너지소비량간의 관계에 관한 한국인 자료가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이에관련된 연구가 앞으로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assess body composition, physical activitylevel (PAL), basal metabolic rate (BMR), and daily energy expenditure (DEE) and to examineassociations between PAL and body composition, BMR, and DEE of elderly in Busan.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among 226 elderly aged 65-93 years.
Body composition was measured by Inbody 720. PAL was calculated by daily activity diary.
BMR was calculated by Harris-Benedict (H-B) formula, Dietary Reference Intakes (DRI)formula, and Inbody 720 measurement. DEE was calculated by H-B formula, DRI formula,Inbody 720 measurement, and estimated energy requirements (EER) formula.
Results: The mean fat free mass (FFM) in elderly m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in elderly women (p<0.001). The mean percent body fat and fat mass (FM) in elderlywomen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elderly men (p<0.001, p<0.001). The meanPAL in elderly men (1.59)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elderly women (1.53)(p<0.001). The mean DEEs calculated by 3 methods except for H-B formula in elderly menwere higher than EER for elderly men (2000kcal). The mean DEEs calculated by 4 differentmethods in elderly women were higher than EER for elderly women (1600kcal). Age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height (p<0.001, p<0.001), FFM (p<0.001,p<0.001), BMRs calculated by H-B formula (p<0.001, p<0.001), DRI formula (p<0.001,p<0.001) and Inbody 720 measurement (p<0.05 p<0.01) and DEEs calculated by H-Bformula (p<0.001, p<0.001), DRI formula (p<0.001, p<0.001), Inbody 720 measurement(p<0.05, p<0.05), and EER formula (p<0.001, p<0.001) in elderly men and elderly women.
PAL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FFM (p<0.05), BMR by Inbody 720measurement (p<0.05) in elderly men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FM (p<0.05) in elderlywome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PAL was associated with greater FFM in elderly menand lesser FM in elderly women. Therefore, nutritional education to increase physicalactivity for health promotion in late life is needed in the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