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분의극략사기(四分義極略私記)』 「입분부동문(立分不同門)」의 연구 (A Study of the Chapter of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Divisions of the Parts of the Consciousness(立分不同門) in the Brief Explanation about Four Parts of the Consciousness(四分義極略私記))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14.04
25P 미리보기
『사분의극략사기(四分義極略私記)』 「입분부동문(立分不同門)」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67호 / 63 ~ 87페이지
    · 저자명 : 박인성

    초록

    이 논문은 중산(中算)의 『사분의극략사기』, 「입분부동문」을 다루는 세 편의 논문중 첫 번째 논문으로, 호법의 4분설을 다루고 있다. 중산은 호법의 4분설 중 2분에대해 네 가지 논제를 잡아 설명하고 있는데, 앞의 두 논제에서는 대체로 규기를 따르면서 보완하고 있는 반면, 뒤의 두 논제에서는 규기와는 상당히 다른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논제에서 중산은 4분이 2분, 3분, 1분으로 접어질 수 있다고 하면서 이중 2분 즉 식이 발생할 때면 반드시 나타나는 능연의 상과 소연의 상 중 능연의 상에자증분과 증자증분을 포섭시키고 있다. 둘째 논제에서 그는 ‘사(似)’라는 용어를 써서의타기의 능연과 소연이 변계소집의 능연과 소연과의 관계 속에서 파악되는 과정을논술하고 있다. 의타기의 2분이 있다는 것을 이치에 의거해서 증명하는 셋째 논제에서 그는 소연의 상과 능연의 상에 대해 각각 논증식을 전개하는 규기와는 달리 이들을 한데 묶어 논증식을 전개하고 있다. 의타기의 2분이 있다는 것을 경전에 의거해서 증명하는 넷째 논제에서 『후엄경』의 한 송의 제1구를 규기는 내심(內心)을 표현하는 것으로 본 반면, 중산은 이를 의타기의 2분이 있다는 것을 표현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dealing with Chyuzan(中算)'s interpretation on Dharmapala'sdoctrine about the divisions of four parts of the consciousness. Chyuzan isexplaining about the two parts, that is, the seeing part and the seen part of theconsciousness among the four parts, establishing the fourfold topics, and showshis own interpretation different from Kuiji[窺基]'s interpretation. In the first topic,he maintains that the four parts can be implicated into two part, three parts, andone part respectively. And he claims that two parts, namely the representation ofthe cognizing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cognized appear in the consciousnessas the consciousness itself occurs, and so the part of self-awareness and the partof the awareness of the self-awareness can be implicated into the representationof the cognizing. In the second topic, he claims that the cognizing and thecognized arising dependently on other elements are apprehended just in thecorrelation of the cognizing and the cognized understood as a transcendence. Inthe third topic that testifies to the fact that two parts of the consciousness arisingdependenty on other elements, unlike Kuiji who sets up arguments about eachrepresentation, Chyuzan sets up an argument, putting together tworepresentations. In the fourth topic demonstrating that the two parts appears inthe consciousness on the basis of the Sūtra, he conceives the first phrase of theGāthā in the 厚嚴經, as referring to two parts arising dependently on otherelements, whereas Kuiji considers it as referring the inner mind opposed to theouter object. In all of the four topics, he emphasizes that the two parts, namelythe seeing part and the seen part exists in the mind as the consciousness itselfoccurs. In each topic, he presents the new interpretation we can't find out in theKuiji's interpretation, and he reinforces or revises what Kuiji interpre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