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時代의 鄭樵 「六書略」 수용과 활용 (Acception and Utilization of Zhengqiao(鄭樵) 「Liushulve(六書略)」 in Joseon(朝鮮) Dynasty period)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16.03
32P 미리보기
朝鮮時代의 鄭樵 「六書略」 수용과 활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66호 / 191 ~ 222페이지
    · 저자명 : 양원석

    초록

    본 논문은 宋代 鄭樵의 「六書略」이 조선시대 학자들에게 어떻게 수용되고 활용되었으며, 그것이 朝鮮漢字學史에서 어떤 의의를 가지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鄭樵의 한자학 이론서라고 할 수 있는 「육서략」은 『通志』 卷31~卷35에 수록되어 있다. 여기에는 鄭樵가 六書의 개념 등에 대해 연구한 내용 및 자신의 六書 개념에 근거하여 한자를 분류하여 제시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육서략」은 李衡祥과 李瀷에 의해 조선 학계에 처음 소개되었다. 또한 正祖의 「文字策問」과 諸臣들의 對策文에서는 「육서략」에서 제시한 六書 관련 내용에 대해 본격적이고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하였다. 아울러 李德懋, 李圭景, 許傳 등은 「육서략」의 내용을 글자에 대한 고증 작업이나 자신의 논설을 위한 논거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육서략」은 조선 후기 학자들이 한자학을 연구하는 데에 적극 활용하였던 外來 도서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육서략」은 宋․元․明과 淸의 시기에 매우 상반된 평가를 받았다. 즉 宋․元․明 때에는 六書에 대해 깊이 있게 연구한 대표적인 한자학 이론서라고 인정되었지만, 淸代에는 그것의 가치에 대해 대체적으로 부정하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淸과 동시대인 조선 후기 학자들은 「육서략」을 중시하면서 이를 적극 활용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면모는 중국의 경우와 변별되는 조선 한자학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how 「liushulve(六書略)」 of Zhengqiao(鄭樵) in Song(宋) Dynasty period was accepted and utilized by scholars in Joseon(朝鮮) Dynasty period,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Joseon(朝鮮) Chinese character.
    「liushulve」 written by Zhengqiao which can be said to be a theoretical book of Chinese character is included in Vol.31~Vol.35 of 『Tongzhi(通志)』, which contains the contents he studied with regard to concepts of liushu(六書) and which he classified and proposed with regard to Chinese character on the basis of concepts of liushu.
    This 「liushulve」 was first introduced in Joseon's academic world by Lee Hyeongsang(李衡祥) and Lee ik(李瀷). Also, 「Wenzicewen(文字策問)」 of Jeongjo(正祖) and Duicewen(對策文) written by various followers included regular and concrete discussions about related contents proposed from 「liushulve」.
    Also, Lee Deokmoo(李德懋), Lee Kyukyung(李圭景), Heo jeon(許傳) et al. used to utilize the contents of 「liushulve」 for their historical research or as basis of their arguments. Like this, 「liushulve」 can be said to be one of foreign books scholar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actively used for studying Chinese character.
    「liushulve」 was evaluated in a very differently respectively in Song(宋), Yuan(元), Ming(明) Dynasty period and Qing(淸) Dynasty period. So to speak, in the era of Song․Yuan․Ming, it was evaluated to be the typical theoretical book on Chinese character which deeply studies liushu, but in the era of Qing Dynasty, as a rule, it tended to be negatively evaluated. In the meantime, scholars in the latter par of Joseon Dynasty, which is the same age as Qing, tended to positively utilize 「liushulve」 placing importance on it. This aspects can be said to be features of Joseon Chinese character different from Chinese on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