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리빙랩에 관한 연구 주제 및 동향 분석: LDA 토픽모델링과 의미 연결망 분석을 통한 탐색적 접근 (Analyzing Research Themes and Trends in Living Lab Studies: An Exploratory Approach Using LDA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24.10
12P 미리보기
리빙랩에 관한 연구 주제 및 동향 분석: LDA 토픽모델링과 의미 연결망 분석을 통한 탐색적 접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 수록지 정보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25권 / 5호 / 171 ~ 182페이지
    · 저자명 : 김기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과 공공서비스 혁신의 주요 도구로서 리빙랩이 학문적으로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고찰하기 위해 리빙랩 관련 국내 학술연구의 연구 주제 및 학문적 동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2012년부터 2024년까지 발간된 논문 510편의 제목, 국문초록, 주제어의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처리 과정을 거치고, 텍스트 마이닝,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알고리즘 기반 토픽모델링, 의미 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 도시와 참여적 혁신’, ‘지역사회 공동체와 복지 혁신’, ‘현장 기반 사용자 주도 혁신’, ‘지역사회 문제 연계 교육 혁신’, ‘삶의 질과 문화 및 청소년 복지 증진’의 5개 주요 연구 토픽군을 도출하였다. 토픽명은 각 토픽군의 단어 주머니에서 비중 높은 단어들과 문헌 고찰을 통해 결정하였다. 주요 키워드 간의 구조적 연결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의미 연결망 분석기법을 활용한 시각화로 토픽별 차별적 특성을 식별하고, 리빙랩 연구의 각 주제 간 상호작용의 양상과 학문적 통찰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리빙랩 연구의 현재 연구 지형을 종합적으로 조망하여, 지역 및 도시 문제 해결, 지역사회 회복력 강화, 공공서비스의 디지털 혁신 통합을 위해 리빙랩을 활용하려는 정책결정자나 연구자들에게 유의미한 학문적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cholarly advancements and research trends of living labs, highlighting their role as a strategic approach for addressing community challenges and driving innovation in public services through a systematic investigation of domestic academic research. A total of 510 research papers published between 2012 and 2024 were analyzed, focusing on unstructured data such as titles, abstracts, and keyword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the underlying themes were systematically extracted and refined through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leading to the identification of five core themes: ‘Smart cities and participatory innovation’, ‘Community welfare and social innovation’, ‘User-driven field-Based innovation’, ‘Educational innovation linked to community issues’, and ‘Enhancement of quality of life, culture, and youth welfare’. Each theme was named based on high-frequency terms within topic clusters and further verified through a detailed literature review, ensuring the thematic categories accurately reflect the focus of the papers. Semantic network analysis further revealed the structural interconnections between keywords, adding depth to the understanding of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present a comprehensive view of the research landscape in living lab studies, highlighting thematic convergence and divergence across various scholarly focuses. This study provides actionable insights for academics and policymakers, suggesting that living labs can serve as a strategic framework for solving regional challenges, enhancing community resilience, and integrating digital solutions into public services and lays the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and policy initiatives aimed at leveraging living labs for sustainable community innov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