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심형 놀이 공간의 체험형 인터랙티브 디자인 방향성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Experiential Interaction Design in Urban Game Space)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3.12
14P 미리보기
도심형 놀이 공간의 체험형 인터랙티브 디자인 방향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8호 / 471 ~ 484페이지
    · 저자명 : 양지아티엔, 이수영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공공디자인의 실외 놀이 체험공간은 인터랙티브(interactive) 디자인의 흥미와 참여성을 강조한 이벤트 형태로 주목을 끌고 있다. 사용자를 공간 요소의 일부로 다양한 인터랙티브 체험객의 시지각적 참여를 이끌어냄과 동시에 사람과 공간, 경관과의 관계를 수동적 감상에서 능동적 체험으로 변화된 참여와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이는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사용자에게 새롭고 다 감각적 경험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심형 놀이 공간에서의 인터랙티브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고 향후 인터랙티브 디자인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첫째, 문헌, 저널, 학술 논문, 인터넷 데이터 등 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한다.둘째, 사례를 바탕으로 도심 공간 내에 위치한 레저·엔터테인먼트 공간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10~2021년으로 공간적 범위는 인터랙티브 시설, 인터랙티브 시스템, 놀이 공간을 갖춘 시티프라자, 공원 및 거리 등을 10개 사례를 조사한다. 셋째, 설문조사는 놀이 공간의 형태적, 물리적 요소와 인터랙티브 디자인 표현 요소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사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하고 실제 사용자가 놀이 공간에서 관심을 갖는 인터랙티브 디자인 요소를 도출한다. 연구 및 분야의 사례와 분석을 바탕으로 놀이 공간 인터랙티브 디자인 방향에 대한 의의를 탐구한다. (결과) 설문지와 사례를 통한 대화형 디자인의 형태적 요소 표현에서 현대 스크린, 미디어, 영상 및 기타 응용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놀이 공간에서 신체 동작을 통해 빛은 공간과 소통하고 상호작용하며 색상이나 조명을 사용하여 사용자를 자극하고 유도한다. 상호작용성은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과 커뮤니케이션의 형태이며, 공간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다음으로 감성적 표현에서 편안한 색상은 공간의 활력과 매력을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상상력과 흥미를 자극하며, 다양한 심리적, 시각적 감각적 경험을 만족시켜 공간의 감성을 구현한다. (결론) 도시 놀이 공간이 인터랙티브를 매개로 다양한 체험 공간으로 설계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 결과 사용자의 심미성과 체험의 요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와 공간 간의 다중 상호작용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현재 놀이 공간의 인터랙티브 디자인은 형태와 기능성이 높은 매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간 구조가 비교적 합리적이며 놀이성과 상호작용성이 충분하다. 사용자는 공간에서 놀이체험 및 미디어 기술의 적용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후속 디자인은 공간에서의 감성성 표현 및 전문 기술의 적용을 강화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인터랙티브 디자인의 방향에 폭넓은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Among modern public designs, interactive design is drawing attention as an approach that emphasizes fun and participation in outdoor spaces. Making the user part of the spatial elements encourages visual and perceptual participation in the experience through various interactivations and chang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space, and people and the landscape from passive appreciation to active experience, creating interest in participation. This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of interactive design in urban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design in urban entertainment space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design in the future. (Method) First, data were collected by comprehensive literature search. Second, based on the information gleaned, the characteristics of leisure and entertainment spaces in urban areas were investigated. The temporal range of the study was 2010–2021. The spatial range of the study investigated 10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of interactive facilities, city plazas with interactive systems, and play spaces, parks, and streets. Third, through a questionnaire analysis of user preferences, we explored the significance of game-space interaction design. (Results) Through questionnaires and cases, we found a lack of modern screens, media, images, and other applications for expressing morphological elements in interactive design. Through body movements in the playspace, light communicates with and interacts with the space, and color or lighting may be used to stimulate and engage the user. Comfortable colors in emotional expressions increase the vitality and appeal of the space, stimulate users' imagination and interest, and enhance various psychological and visual sensory experiences, thus embodying the sensibility of the space.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urban entertainment spaces can be designed as a variety of experience spaces through interaction. Such design not only meets the aesthetic and experience requirements of users but also considers the multiple interactions between users and space. At present, the interactive design of a game space is composed of media with prominent form and function; the space structure is reasonable, and the game and interaction are sufficient. Users can pay attention to the gaming experience and application of media technology in the space, and subsequent design can strengthen the perceptual expression and application of professional technology in the space.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and adjustment of the interactive design of subsequent game spa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