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향랑전>과 <서울역>에 드러나는 ‘집’의 장소성과 가부장제의 폭력성 (The placeness of ‘home’ and the violence of patriarchal system revealed in and )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3.08
45P 미리보기
&lt;향랑전&gt;과 &lt;서울역&gt;에 드러나는 ‘집’의 장소성과 가부장제의 폭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人文科學硏究 / 48권 / 283 ~ 327페이지
    · 저자명 : 이은우

    초록

    ‘집’은 인간의 근원적 장소이고 모든 여정의 귀환점이다. 그러나 17세기 <향랑전>의 주인공 향랑과 21세기 <서울역>의 주인공 혜선은 끝내 귀가하지 못하고 죽음을 맞이한다. 죽음을 담보로 신체를 버리고 이념으로 생존하는 ‘열녀’와 이념을 버리고 신체로 생존하는 ‘좀비’는 다른 듯하면서도 닮아 있다.
    본 연구는 <향랑전>과 <서울역>의 두 주인공 향랑과 혜선이 어린 여성이라는 점, 그리고 그녀들의 행적이 줄곧 ‘집’이라는 장소를 향하고 있는 점, 그러나 끝내 비극적인 죽음을 겪는다는 점, 그런데 열녀라는 평판과 좀비라는 신체로 부활한다는 점, 여기에는 서사의 배경이 되는 ‘선산’과 ‘서울역’이라는 공간의 특성이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공유한다는 특징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그녀들의 겪은 비극의 원인이 가부장제가 갖는 폭력성에 있다는 것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논의는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하였다. 하나는 ‘집’이라는 장소가 갖는 특성을 규명한다. 가부장제 하에 ‘집’은 아버지로 대표되는 남성이 주인인 장소이다. 주인 남성은 미성년이거나 미혼의 여성을 돌보아야 하는 책임과 이에 기반한 권력을 소유한다. 향랑이 거듭 유기되고 혜선이 착취되어 ‘집’에 돌아가지 못하고 죽음을 맞이하는 데는 그녀들에게 생존할 수 있는 안전한 장소를 제공해주지 못한 무능한 ‘아버지’들의 책임이 절대적이다.
    이어서 ‘아버지’로 환유되는 가부장제의 폭력성을 부양자와 포식자를 넘나드는 권력의 무경계성, ‘집 안’의 구원자로서의 어머니의 부재와 ‘집 밖’의 구원자로서의 국가와 종교의 방임이라는 차원에서 분석한다. 우위의 가장이 열위의 구성원을 부양하는 수혜자―시혜자의 관계는 손쉽게 포식자―피식자의 먹이사슬로 전락한다. 이 끔직한 비극을 막아줄 수 있는 ‘집’의 성인 여성 구성원 어머니의 존재는 두 작품 모두에서 부재한다. ‘어머니’는 ‘계모’로 대체되거나 ‘죽은 어머니’나 ‘성모’와 같은 이상화된 허상으로 등장할 뿐이다. 향랑과 혜선의 실질적 영역과 상징적 영역에서의 각각 최종 보호자 역할을 수행하는 국가와 종교마저도 아버지의 폭력으로부터 보호하지 못했다는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오히려 국가는 이들의 죽음을 각각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강화와 재앙의 근원으로 소모하였다.
    300년 전 향랑과 오늘날 혜선은 끝내 귀가하지 못한 채 갓 스무살 남짓의 나이에 목숨을 잃었다. 그리고 그녀들의 죽음은 비극은 삭제되고 각기 자살로 절개를 지킨 평민 열녀, 좀비라는 재앙의 씨앗으로 기입되고 있다. 원초적 공간인 ‘집’에조차 소속되지 못한 사회적 약자인 그녀들의 비극을 규명하고 정당한 자리를 찾아주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noted that Hyangrang and Hye-sun, the two main characters of Hyangrangjeon and Seoul Station, were young women, and that their actions were always aimed at the place of "home," but eventually died tragically and revived as virtuous women and zombies, respectively.   The discussion develops in two directions, one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called 'home'. The host man has the responsibility to care for a minor or unmarried woman and the power based on it. It is absolutely the responsibility of incompetent fathers who failed to provide them with a safe place to survive for Hyang-rang and Hye-sun to die without returning to their "home." It then discusses the violence of the patriarchy, referred to as the 'father'. It is analyzed in terms of crossing the boundaries of dependents on predators, the absence of the mother as the savior of the "home," and the neglect of the state and religion as the savior of society.   Their deaths are recorded as the fairy of disaster and the seeds of zombies after the tragedy was deleted, and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tragedies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who do not belong to the original space of "home" and find a legitimate pl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人文科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