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리랑을 활용한 한국의 정신문화 교육 내용 연구: 한(恨)의 정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ent of Korean spiritual culture education using Arirang: Focusing on the emotion of Han(恨))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4.06
23P 미리보기
아리랑을 활용한 한국의 정신문화 교육 내용 연구: 한(恨)의 정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효학회
    · 수록지 정보 : 효학연구 / 39호 / 51 ~ 73페이지
    · 저자명 : 김지안

    초록

    배경: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한(恨)에 대한 정신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정신문화’ 는 인간의 정신적 활동으로 형성된 문화, 도덕, 종교, 학술, 사상, 예술 등을 아우르는 말이다. ‘한국의정신문화’는 한국인들끼리만 공유되고 있는 특별한 정신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정신 활동에는 사람의마음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감정 또는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기분이나 분위기인 정서가 포함된다. 한국인들이 ‘그렇게 언행 하는 것’을 알기 위해서는 그 언행을 하게 하는 정신 활동의 ‘기인이 어디에 있는가’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만 한다.
    목적: 한국어교육에 있어 우리 삶의 표층을 이루고 있는 행동문화와 성취문화 못지않게 심층을 구성하고있는 관념문화인 정신문화를 다른 영역에 앞서 교육할 필요가 있다. 가시적인 현상과 행동이 있게 하는, 어떤 일에 대한 견해나 생각 즉 ‘관념’은 사물을 느끼고 생각하며 판단하는 마음의 자세나 태도 즉‘정신’에 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리랑이라는 교육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어 학습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한(恨)에 대한 정신문화 내용을 파악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능통한 의사소통 능력과 문화능력의 함양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법론/접근: 첫째 한(恨)의 정서에 대한 개념 정립하고, 둘째 아리랑의 형성과 유형을 살펴보고, 셋째 아리랑의 내용 통해서 한국의 정신문화 교육으로 한(恨)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결론: 한국적 한(恨)의 정서를 이해하기 위해 아리랑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정선아리랑은 망국의 나라를 지켜볼 수밖에 없는 충신의 한(恨)이, 밀양아리랑은 절개를 지킨 아랑의 한(恨)이, 진도아리랑은 오랜 역사 속에 지켜낸 삶에 대한 애환의 한(恨)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한국어 학습자는 아리랑의사설을 통해서 한(恨)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게 될 것이며, 나아가 한국어 능력 향상에 도움을 받게 될것이다. 이에 아리랑은 한국적 한(恨)의 정신문화 교육 확장 및 연계성을 갖기에 충분하다.
    시사점: 아리랑의 사설을 통해 한국의 한(恨)의 정신문화 교육의 확장 및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보다 심도 있는 정신문화 교육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piritual culture education about Korean han (恨)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Mental culture’ encompasses culture, scholarship, ideology, religion, art, and morality achieved through human mental activities. ‘Korea’s spiritual culture’ can be said to be a special mental activity shared only among Koreans. Mental activity includes emotions, which are moods or moods that evoke various feelings or emotions that occur in a person's mind. In order to know why Koreans ‘say things like that’, there must be an understanding of ‘where the origins’ of the mental activities that lead to those words and actions lie.
    Purpo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mental culture, which is the ideological culture that forms the deep layer, as much as the culture of behavior and achievement that forms the surface layer of our lives. This is because the opinion or idea, or ‘idea,’ about something that causes visible phenomena and actions can be said to be in the ‘spirit,’ or the attitude or attitude of the mind that feels, thinks, and judges things. Therefore, by using the educational material called Arirang, the goal is to help Korean language learners learn the mental and cultural contents of Han (恨), which are difficult to access, and to develop fluent communication skills and cultural skill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Methodology/Approach: First, the concept of the emotion of resentment is established, second, the formation and type of Arirang are examined, and thir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of resentment are revealed through the contents of Arirang through the education of Korean spiritual culture.
    Findings/Conclusions: Jeongseon Arirang is the sorrow of a loyal subject who has no choice but to watch the country fall into ruin, Milyang Arirang is the sorrow of an Arang who maintained fidelity, and Jindo Arirang is the sorrow of the joys and sorrows of a life that has been preserved throughout its long history. It is fully contained. Arirang's editorials are sufficient to expand and connect the spiritual culture education of Korean resentment.
    Implications: Through Arirang's lyrics, we can confirm the expansion and connection of Korea's spiritual culture education of Han (恨),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more in-depth cultural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