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황룡사 회랑 외곽 공간의 구획과 성격 - 동회랑 동편과 강당 북서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Outer Space of Hwangnyongsa Temple)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2.12
46P 미리보기
황룡사 회랑 외곽 공간의 구획과 성격 - 동회랑 동편과 강당 북서편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108호 / 131 ~ 176페이지
    · 저자명 : 김동하

    초록

    본 연구에서는 황룡사 회랑 외곽영역의 공간 구획과 건물 배치, 그리고 그 성격을 검토하였다.
    황룡사 동회랑 동편은 담장으로 구획된 일정한 공간 내부에 건물 1기씩 배치되는 특수한 구조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구조는 중국의 수 · 당대 사찰에서 보이는 다원식 가람과 유사한 구조이지만, 각 공간의 규모는 작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심곽과 외곽이 담장이나 회랑 으로 명확히 구획되고, 외곽은 다시 담장으로 구획되어 각각의 독립된 공간과 건물이 정연 하게 배치된다는 점에서 유사한 측면도 분명 있다. 이 공간은 좁고, 폐쇄적이라 많은 사람들이 공동으로 모이는 장소가 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개인이나 소수를 위한 공간이 자, 매우 정적인 공간으로 이해된다. 본고에서는 고승들이 수행이나 수양을 위해 독거하는 공간, 혹은 중국 당대 사원에서 볼 수 있는 聖容院, 影堂院, 六祖院 등과 같은 의례공간으로도 추정해보았다.
    강당 북동편 지구는 크게 3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먼저 건물지13(동문지)과 여러 소규모 건물이 배치된 공간, 동서길이가 약 45m 이상 되는 건물지24, 28(추정 승방지 등)가 배치된 공간, 그리고 건물지29(창고), 건물지48(추정 식당지), 우물지13(대형)이 있는 공간이 다. 이 공간은 황룡사 내 공동생활과 관련한 장소일 가능성이 크다. 강당 북서편 지구에서는 동서배수로와 연결되는 건물지55의 기능을 화장실로 추정했고, 아울러 연못은 황룡사 후원 으로서 각종 연회나 행사가 치러진 정원시설로 이해하였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the spatial compartment, the arrangement of buildings, and their characteristics outside the corridor of Hwangnyongsa Temple were reviewe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ast side of the corridor east of Hwangnyongsa Temple has a special structure in which a building is placed in a certain space divided by walls. This structure is similar to the multiple compounds Buddhist temples found in Sui and Tang temples in China. In particular, the central part and the outer part are clearly separated by walls and corridors, the outer periphery is divided into walls again, and the independent space and buildings are arranged in an orderly manner.
    This space is so small and closed that it cannot be a place where many people gather together. In this article, it is estimated that the space where the high priest lives alone for training and training, or the ceremonial space such as the Sacramentary Hall, the monk portrait hall, which can be found in Tang Dynasty China.
    The northeast part of the auditorium was largely divided into three spaces. 1. It is divided into a space where east gates and small buildings are concentrated, 2. a sleeping space, and 3. a communal living space with warehouses, restaurants, and wells. It is estimated that there were garden facilities, toilets, and drains where banquets and events were held in the northwest of the auditoriu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