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멜랑콜리아” 읽기를 통한 대학 교양 수업에서의 시 교육의 실천과 효과 (The Practical Effects of Reading the Poem, “Melancholia” as a College General Education)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0.08
12P 미리보기
“멜랑콜리아” 읽기를 통한 대학 교양 수업에서의 시 교육의 실천과 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양교육연구 / 14권 / 4호 / 165 ~ 176페이지
    · 저자명 : 전하영

    초록

    이 논문은 대학 교양 수업에서 고대 희랍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한 ‘멜랑콜리’ 담론과‘멜랑콜리’를 주제로 다룬 시편을 읽으면서 학생들에게서 나타난 실제적인 효과를 공유하는 데 그목적이 있다. 진은영 시인의 “멜랑콜리아”라는 짧은 시편과 이를 이해하기 위한 멜랑콜리 담론은 본대학의 혁신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융합교과목, <소통의 인문학: 문학 읽고 철학하기>에서 다루어졌다. 학생들의 창의적인 융⋅복합적 사고를 배양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설된 이 교과목은 학생들의 자발적이고도 자유로운 참여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다양한 주제와 과제를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멜랑콜리는서구 예술사를 관통하는 주된 정조이지만 여전히 우리에게는 낯선 개념이다. 일찍이 고대 아리스토텔레스는 천재성의 징표로 멜랑콜리 기질과 은유 제작 능력을 꼽았다. 멜랑콜리, 은유와 관계한 시적 이미지는 서로 이질적인 것들을 결합하는 유사성에 대한 통찰로 주조되는데, 이때 이미지는 그 자체로 교육적방법론이 될 수 있다. 학생들은 멜랑콜리에 대한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또한 이에 대한 시를 창작함으로써 자기 내부에 내재한 상처를 드러낼 뿐 아니라 이를 보듬는 치유의 가능성이라는 또 다른 창조적담론을 생산해내는 체험을 공유할 수 있었다. 이처럼 상처를 통해 나를 인식하고 치유의 힘을 배태하는멜랑콜리 담론은 경계에 대한 치열한 인식과 통찰을 통해 생성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share the practical effects of reading the poem, “Melancholia” with a focus on the Aristotelian discourses on melancholy. The course Reading Literature & Doing Philosophy wherein the piece dealing with “Melancholia” by Jin, Eun Young, is a course offered within the University innovation Projects program. This program aims to develop convergent thinking ability, whereby students freely and actively participate in various class activities. The notion of melancholy is still unfamiliar to us even though it has been significant in explaining Western art history. Earlier, Aristotle regards melancholy and the ability of creating metaphors as a sign of genius, and poetic images related with melancholy and metaphors are created by combining dissimilar things, which ultimately renders them similar to one another. This paper argues that poetic images themselves should be considered as educational methods as well as systems of thoughts. While coming up with various images, students can reveal their inner struggles, by which they may also produce creative discourses on how they could be healed. Learning melancholy discourses can make it possible for individual students to recognize who they are by looking at their inner sufferings. Students can also gain valuable insight into the liminal space that can be a place of their creativ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양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