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선아리랑’의 심리치유적 효과에 대한 연구 토대 마련을 위한, ‘정선아리랑’ 가사와 실생활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rsions of 'Jeongseonarirang' and the Real Life of the Singers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further study on the Psychotherapy Effect of 'Jeongseonarirang')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9.04
41P 미리보기
‘정선아리랑’의 심리치유적 효과에 대한 연구 토대 마련을 위한, ‘정선아리랑’ 가사와 실생활의 연관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51권 / 85 ~ 125페이지
    · 저자명 : 박관수

    초록

    가창자들은 ‘정선아리랑’을 ‘신세타령’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정선아리랑’을 부르면, 가슴이 시원해진다고도 말한다. 이러한 것은 가창자들이 ‘정선아리랑’을 통해 자신의 마음을 드러내면서 일종의 심리치유적인 효과를 얻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금까지 구전되는 ‘정선아리랑’의 심리치유적 효과에 대해 연구한 논문은 없다. ‘정선아리랑’의 심리치유적 효과를 본격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쉬운 작업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본고는 그 디딤돌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정선아리랑’ 가사는 무엇을 드러내고자 했는지에 관심을 가졌다. 이를 위해 가창자들이 가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집중적으로 조사를 했다. 정선군의 여러 지역의 소리판을 녹취했음은 물론 많은 가창자들을 여러 번씩 만나려고 노력했다. 그 결과 기존의 연구자들이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사실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새로운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정선아리랑’ 가사는 가창자들이 ‘나’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 가사가 있는 반면, ‘나’와 비교적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는 가사가 있다. 전자는 ‘나 자체를 드러내는 가사’와 ‘나-너 관계를 드러내는 가사’로 구분했고, 후자는 ‘사회를 드러내는 가사’와 ‘자연을 드러내는 가사’로 구분했다. 본고에서는 전자에 관심을 기울이고자 한다. 전자 중에서도 ‘가난함’, ‘집안 생활’, ‘연애’라는 표현 대상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이유는 우리가 생각하는 바와 달리, 연구 대상으로 삼은 906편 중 가난함과 관련된 가사가 2%, 집안 생활과 관련된 가사가 12%, 연애와 관련된 가사가 55%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빈도수를 구명할 경우 1950년대 이전의 ‘정선아리랑’ 가사가 무엇을 대상으로 했는지를 알 수 있고, 그 연구 결과는 심리치유적 효과를 탐구하는 데에 디딤돌이 되리라 생각한다.

    영어초록

    The singers refer 'Jeongseonarirang' to 'sinsetaryong', a song of woe. It is also said that singing 'Jeongseonarirang' relieves their stress and gives some psychotherapy effect. These testimonies show that the singers reveal their minds through 'Jeongseonarirang' and gain some sort of psychotherapy effects. No other papers have ever studied the psychotherapy effects of 'Jeongseonarirang' - the Korean traditional folk song and Korean intangible legacy that has been sung by Korean people from long ago - yet. I do not think that it is easy to study the psychotherapy effects of 'Jeongseonarirang' impeccably from the first. I intend to set up the stepping stones first through this paper.
    For this work, I pay attention to what the versions of 'Jeongseonarirang' try to reveal. To do this, I have mainly focused on how the singers feel about the versions. I have tried not only to record the singing sites of various regions of 'Jeongseonarirang' but also to meet each of many singers for several times. As a result, I was able to draw new results based on the accumulated facts that the existing researchers had not anticipated.
    'Jeongseonarirang' song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1) versions that are sung from the singer’s point of view and 2) versions that are not sung from the singer’s point of view. Group 1 can be further subdivided into the singer only referring to him or herself (here after called the 'Me' category) or the singer referring to him or herself in relation to another person (hereafter called the 'You and Me' category). Group 2 can be also further subdivided into versions describing contemporary society or versions describing natur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focus on Group 1. While doing so, I would like to examine the subjects of 'Poverty', 'Domestic life', and 'Love affair'. This is because, contrary to our belief, 55% out of the research subjects – total 906 versions of 'Jeongseonarirang' - was studied to be related to love affair while the proportion of the versions dealing with poverty was 2% and the ones dealing with domestic life was 12%. If we analyze these frequencies, we will be able to examine what the versions of 'Jeongseonarirang' were for before the 1950s. I believe that the results can be the stepping stone for the further exploration on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Jeongseonarir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