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기개념의 ‘포스트’적 변환에 관한 고찰 - 스타니슬랍스키의 ‘행동’, ‘교감’, ‘역할’을 중심으로 (A contemplation on ‘post’-conversion of acting concept - centering on Stanislavsky’s ‘action’, ‘communion’ and ‘role’)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4.12
37P 미리보기
연기개념의 ‘포스트’적 변환에 관한 고찰 - 스타니슬랍스키의 ‘행동’, ‘교감’, ‘역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극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극예술연구 / 46호 / 267 ~ 303페이지
    · 저자명 : 안재범

    초록

    이 글은 포스트시대에 변환한 스타니슬랍스키의 연기개념들을 정담의 구조에서 고찰한 것이다. 하나의 실체가 대상과 개념의 결합이라는 점에서 연기의 본성 역시 대상과 개념, 양자의 상호연관적인 결합으로 발현한다. 따라서 이 양자의 관계에 대한 규명이야말로 연기론 연구에서 중요한 책무일 것이다. 그럼에도 그동안 연기에 관한 논의는 방법론 등 대상의 측면에 치중된 채 수행되어 왔다. 이를 보완하고자 본 연구는 현대연기론의 초석을 다진 스타니슬랍스키가 정담의 구조에서 확정한 ‘역할’, ‘교감’, ‘행동’의 개념들이 시대적 흐름에 따라 ‘포스트’적으로 전환한 특성에 대하여 그 논의를 전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고의 최종적인 목적은 연기개념에 관한 동시대적 고찰을 통한 연기론의 실제적인 변화 혹은 진보에 있기 때문이다.
    스타니슬랍스키가 정담의 구조에 입각하여 수립한 각각의 개념은 배우의 입장에서 ‘목적을 위한 행동’, 상대의 입장에서 ‘교감을 통한 합일’, 관객의 입장에서 ‘잠재의식적인 구현’이었고, 이 개념들은 당대의 과학과 철학에 근거하는 인과론적 ‘진실’에 정초하여 수립된 것들이었다. 그러나 포스트시대에 이르러 인과론적 ‘진실’이 불확정성의 ‘진실’로 변천함에 따라 앞서의 개념들 역시 ‘과정의 수행’, ‘타자와의 대화’, ‘무위의 구현’으로 그 의미가 각기 변환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개념적 전환을 통해 수립될 ‘포스트’적 연기론은 연기교육에서 불필요한 잉여를 제거하고, 의사소통의 수행과정에 초점을 맞춘 방식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포스트’적 개념에 의해 구현되는 연기의 미학은 ‘아래로의 하강’, 즉 료타르가 말한 현대적인 ‘숭고’와 같은 것이다. 오늘날 ‘포스트’적 개념에 근거한 배우의 연기란 현실의 행동과의 경계가 점차 무너지며 인위성 자체가 사라져 버린 부드럽지 않고 생경한 것, 다시 말해 마냥 거칠고 무의미해 보이는 것이 되었다. 그 결과, 관객은 더 이상 배우의 연기를 감상하는 입장을 포기한 채 배우의 연기를 저질러지는 하나의 ‘사건’으로 받아들이며, 생경한 실재감을 함께 경험하는 입장에 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writing aims at structural contemplation on acting concepts conversed in post-ages. In that an entity is a combination of an object and images, nature of acting expresses itself as mutually connected combination of both an abject and images. Hence, verific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will be an important task in the study of acting. And yet, so-far discussions on acting have been lopsided toward the aspect of its objects such as methodologies. To make up for the situation, this study unfolds discussions on features with which the concepts of ‘role,’ ‘communion,’ and ‘action,’ confirmed by Stanislavsky, founder of comtemporary acting, in his trilogue structure, are conversed to ‘post-’, pursuant to the flow of the times. Conclusively, the ultimate goal of this writing lies with actual change or advance in the field of acting via contemporary consideration of acting concepts.
    Each concept set up by Stanislavsky based upon trilogue structure was ‘action for a goal,’ on the actor/actress side, ‘identification via communion,’ on the counterpart side, and ‘realization of subconsciousness,’ on the audience side. These concepts were set up on the basis of causal ‘truth’ that originated from the then science and philosophy. In the post times, however, causal ‘truth’ has changed to uncertain ‘truth,’ conversing meanings of the aforementioned concepts into ‘carrying out of the process,’ ‘dialogue with others,’ and ‘realization of wu-wei,’ respectively. Eventually, I could infer that the ‘post-’ acting theory to be set up via conversion of such concepts would be an educational method developed by focusing o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communication, and removing all the unnecessary surplus. Aesthetics of acting to be realized by such ‘post’ concepts is similar to ‘descent downward,’ that is, ‘the modern sublime’ as Lyotard mentioned. Acting based on the ‘post’ concept today has become something strange, not natural, say, something looking infinitely harsh and meaningless because artificiality itself has been gone as its border with the real world has gradually fallen down in performances like post-avant-garde, in movies like fake documentaries, as a result of which the audience accept the acting as ‘a case’ that takes place, with strange feeling of reality, having given up their stance of appreciating the ac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극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