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희망> 문예란에 나타난 ‘희망’의 표상 구축 방식과 문화정치-1950년대 <월간희망> 문예란을 중심으로 (The Establishment Methods of Representation of "Hope" and Cultural Politics in the Literature Section of Huimang(Hope)-With a focus on the literature section of the monthly Huimang(Hope) in the 1950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7.08
36P 미리보기
&lt;희망&gt; 문예란에 나타난 ‘희망’의 표상 구축 방식과 문화정치-1950년대 &lt;월간희망&gt; 문예란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3권 / 3호 / 95 ~ 130페이지
    · 저자명 : 임은희

    초록

    본고에서는 <월간희망>잡지(1951-1966)가 문예면에 많은 지면을 할애할 정도로 강화를 거듭하면서 대중 독자들과 소통을 늦추지 않았다는 점을 착안하여 <희망>잡지가 재건하고자 한 ‘희망’적 의미가 ‘문예란’을 통해 형상화되는 방식에 주목하였다.
    문예면의 배치양상은 ‘문학의 대중화’전략에 따라 ‘국내외 작가소개란’에서는 작가가 범인과 같이 ‘고난’을 지닌 인물이며 그것을 극복하여 ‘희망’을 표상하는 인물로 소개한다. ‘단편소설란’에서는 무명작가 작품의 지면할애, 장르의 다양한 세분화, 문학창작의 방법, 형식의 다양화를 통해 ‘희망’이라는 계도적 표상을 다각적으로 담아내어 ‘희망’문화정치를 구축했음을 보여준다. ‘대중의 문화화’전략에 따라 ‘독자문예란’은 대중이 ‘희망’적 표상을 담는 창작물을 창조하는 문화인으로 거듭나도록 다양한 시도를 보여준다. ‘장편연재소설란’은 <월간희망>이 지속적으로 담론화했던 ‘성과 사랑’의 문제를 주 서사로 다루고 있으며, 교양의 주체로서 여성의 모랄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담론이 지향했던 보수적이며 전통적인 가치를 호명함으로써 젠더 위계를 정착시키려는 의도적 목적성이 부각된다. 여기에는 전통 유교적 담론과 정절 이데올로기로 여성들의 ‘위험한 성’을 통제하는 방식이 내재되어 있으며 이는 1960년대 국가재건 프로젝트 하에 핵가족화 되는 과정에서의 젠더정치학과도 연동되는 지점이 있다. 이것이 바로 <월간희망>의 문예면을 통해 ‘희망’을 재건하기 위한 문화정치로 규명해볼 수 있다.
    <월간희망>은 1950년대 전란의 복구를 ‘희망’으로 재건하기 위한 문화정치로 ‘문예란’을 통해 “문학의 대중화” “대중의 문화화”를 주도적으로 이끌어내어 ‘대중교양종합지’로서 자리매김된다.

    영어초록

    Recognizing that the magazine Huimang(Hope)(1951-1966) did not slow down its communication with public readers by devoting a lot of space to literature and thus continuing to reinforce its literature sec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ways that its directing points were embodied through its "literature section." A look at the layout patterns of the literature section shows that the editors intended to guide the public consistently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hope." When they introduced writers, they focused on depicting them as individuals that represented "hope" that overcame hardship instead of placing them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y also maintained their communication with the readers actively in the "literature section for the readers" to turn the public into a culture and build "hope." The "long serial novels" presented romantic love as their major narrative and found a major factor of conflict in the free expression of characters' desire. The control method of punishment worked as a rite of passage at the point of stitching up the conflicts rather than popularizing such stimulating materials. Inherent in the method was the way of controlling women's "dangerous sex" with the traditional Confucian discourse and the chastity ideology. It is linked to gender politics in the process of nuclear families under the national reconstruction project in the 1960s. It can be understood as the cultural politics of "hope" through the long serial novels in Huimang(Hope).
    Hope established itself as a "general magazine for people's refinement" that led the "popularization of literature" and "enculturation of the public" to restore and reconstruct the nation out of the war with "hope" in the 195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