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신진찬(戊申進饌) 선유락 정재 동기(童妓)의 복식 고증 및 제작 (A Study on the Literary Research and Restoration of Dong-Gi for the Reenactment of Seonyurak Jeongjae [船遊樂] in the Musinjincha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4.09
25P 미리보기
무신진찬(戊申進饌) 선유락 정재 동기(童妓)의 복식 고증 및 제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복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복문화 / 27권 / 3호 / 145 ~ 169페이지
    · 저자명 : 김미정, 김정아

    초록

    본 연구는 1848년 헌종이 주관한 무신진찬의례에서 선유락 정재에 참여했던 동기 복식의 구성을 연구하고 재현한 것이다. 무신진찬(戊申進饌)은 조선 왕실의 권위와 전통을 재확인하는 중요한 국가적 행사로, 여령(女伶)이나 처용무 복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동기 복식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무신진찬의례에서 동기가 참여한 복식 기록인 선유락(船遊樂) 정재를 바탕으로, 도병 및 인접 시기의 연향 자료와 악학궤범 등의 문헌기록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무신진찬의궤의 복식도와 공령, 악기(樂器) · 풍물(風物)의 기록으로 복식의 도식, 사용 옷감 및 소요량 등을 알 수 있었지만, 모든 기록이 일치하지는 않았으므로, 기록을 참고하여 단의, 상, 말군, 수대를 재현하고, 공령 기록에 따라 당의를 제작하였다. 단의는 초록화문갑사와 홍화문갑사, 흰색 갑사로 제작하였고, 상은 홍색문사와 초록문사로 제작하였으며, 수령에는 연밥문양 금박을 부금하였다. 말군과 대는 각각 홍색 주와 홍공단으로 제작하였으며, 당의는 단의와 동일한 원단으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재현복식을 아동모델에게 착용시켜 전체 형태를 제시하였으며, 조선 후기 정재 복식 문화를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자료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당시 복식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이 부족하여 완전한 형태를 복원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일부 복식의 구성 요소는 추정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재현된 복식이 실제와 다를 가능성이 있으며, 원단의 색상, 재질, 문양 등에 있어서도 일부 현대적 해석이 가미된 부분이 있다. 또한 화관 및 수초혜와 같은 장신구를 재현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향후 연구에서는 조선 후기의 다양한 의례와 복식을 연구하고 복식 재현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자료를 분석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복식 유형과 변천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정재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and reproduces the costumes of the dong-gi(童妓) who participated in the Seonyurak jeongjae(船遊樂) during the 1848 Mushingjinchan(戊申進饌) ceremony, hosted by King Heonjong. Mushingjinchan was a significant national event that reaffirmed the authority and tradition of the Joseon royal family. Unlike the well-documented costumes of female performers and the Cheoyongmu dance, the costumes of the dong-gi have received relatively little scholarly attention.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ostumes based on records of the Seonyurak jeongjae, analyzing relevant documents such as Dobyeong and other period sources, including the Akhakgwebeom(樂學軌範). Discrepancies in the costume diagrams, textile usage, and quantities noted in the Mushingjinchan records required the reconstruction of garments including danui(丹衣), sang(裳), malgun(襪裙), and dae (帶). The dangui(唐衣) was also created based on the Gongnyeong records. The danui was made from green-patterned silk(草綠花紋甲紗) and red-patterned silk(紅花紋甲紗), with white silk(白花紋甲紗) for the sleeves Edge. The sang was crafted from red and green silk, with a decorative golden lotus flower and leaf design on the suryeong. The malgun and dae were made from red silk and red satin, respectively, while the dangui(唐衣) used the same fabric as the danui. The reconstructed costumes were fitted on child models to show how they were worn. This study systematically organizes dong-gi costumes' composition and production process, providing a foundation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ate Joseon dynasty court dance costume and its culture. However, due to the lack of detailed historical records, some costume elements had to be estimated, and the reconstructions may differ from the originals. Some modern interpretations were also necessary for colors, materials, and patterns. The study also did not reproduce certain accessories such as hwagwan(花冠) and suchohe(繡草鞋), which leaves room for future improvements. Future research will study various ceremonies and costumes of the late Joseon period, aiming to improve the accuracy of costume reconstruction. This study will allow for a more comprehensive organization of costume types and their evolution, leading to enhanced recreations of court dance costu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복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