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리발마의 사수정관(四修定觀)에 의거한현법락주(現法樂住)의 해석 (A Interpretation of diṭṭhadhammasukhavihāra based on Harivarman’s view of four types of samādhi practic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4.06
28P 미리보기
하리발마의 사수정관(四修定觀)에 의거한현법락주(現法樂住)의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63호 / 101 ~ 128페이지
    · 저자명 : 김준호

    초록

    『성실론(成實論)』「사수정품(四修定品)」 에서는 삼매를 닦는 이들이 추구하는 네 가지 목적이 나온다. ‘현재의 즐거움’[現在樂], ‘앎과 봄’[知見], ‘지혜로 구별함’[慧分別], ‘번뇌를 다 없앰’[漏盡]이다. ‘현법락주’ 개념이 등장하는 ‘사수정(四修定)’ 편을 주요 비교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성실론』에 나온 ‘사수정’과 동일한 설명이 대부분의 북전 아비달마 텍스트에 적지 않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성실론』하리발마의 설명을 기준으로 보면 현법락주는 제2선에서 이루어진다고 하므로 서로 해석이 다르다. 따라서 하리발마의 ‘제2선 성취=현법락주’ 주장이 어디서 비롯된 주장인지를 먼저 살펴보고, 나아가 설일체유부를 중심으로 이 사수정의 현법락주를 거론하고 있는 아비달마 텍스트에서 사수정과 현법락주의 내용을 비교분석할 필요가 제기된다. 분석과정에서 ‘사수정’과 ‘현법락주’가 함께 등장하는 경우로 제한하였다. 아비달마 텍스트 전체에서 현법락주 개념은 대단히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제2선부터 현법락주가 가능하다’라고 말한 하리발마는 이를 논증하기 위해 처음 두 번의 문답을 통해 심사의 차이 설명에 주력한다. 심사가 존재하는 한 마음은 언제든 다시 흐트러져서 한 곳에 머무를 수 없게 되므로 지금 여기서 즐거움/행복을 누리는 경지(現法樂住)는 실현되지 못한다는 관점에서 기인한 것이다. 차이의 핵심은 섭심능력이다. 섭심의 능력으로 흐트러진 마음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니, 혹 괴로움을 경험하더라도 뚜렷하지 않고 미세해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리발마의 주장에 따르면, ‘[대상으로 향하여 뚜렷하게 얽매이는] 생각(尋)의 소멸’과 ‘섭심攝心 능력의 심화’야 말로 즐거움의 원천이다. 현법락주를 성립시키는 조건인 것이다.
    세 번째 문답 내용분석을 통해 ‘현법’의 의미를 『대비바사론』의 설명과 비교하면서 드러낼 것이다. ‘이욕離欲’에 근거한 것은 동일하지만, 하리발마는 ‘이욕’에서 생겨나는 즐거움을 오욕락(五欲樂)을 깨뜨리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 데서 차이가 보인다.
    네 번째 문답에서는 유부 텍스트를 중심으로 사수정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살펴보았다. 『집이문족론』』에서는 ‘이생희락’과 ‘심일경성’ 개념이 현법락주를 해석하는 핵심어라는 점, 『법온족론』에서는 ‘이생희락’과 ‘몸과 마음의 경안’을 즐거움의 바탕으로 이해하고 있는 점, 『아비담심론阿毘曇心論』과 『잡아비담심론雜阿毘曇心論』에서 명상수행에 공을 들여 능숙하게 될 때 현법락주가 전개된다는 설명이 양 문헌에 공통되는 점 등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 문답에서 삼매를 닦는 것에 세 가지 이익을 말할 수 있고, 명상수행의 성취에 기반하는 현법락주도 그 중의 하나지만 누진을 성취하는 나머지 가능성을 모두 부정한다면 그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하리발마의 시선에 주목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Satyasiddhi-śāstra(成實論) 「The chapter of four types of samādhi practice(四修定品)」, there are four goals pursued by those who practice samādhi. The main subject of comparative analysis is the ‘four types of samādhi practice(四修定)’ section, where the concept of ‘diṭṭhadhammasukhavihāra(ddsv)’ appears.
    This is because the same explanation as ‘four types of samādhi practice’ in Satyasiddhi-śāstra appears in most of the Abhidharma texts. Sincerity Theory Based on Harivarman's explanation, the interpretation is different because it is said that ‘ddsv’ is achieved in the second line. Therefore, let's first look at where Harivarman's claim of 'achieving the second jhāna = ddsv' comes from, and further examine the four types of samādhi practice and ‘ddsv’ in the Abhidharma text, which mentions the four types of samādhi practice and ‘ddsv’, focusing on Sarvāsti-vāda. There is a need for comparative analysis. During the analysis process, it was limited to cases where the four types of samādhi practice and ‘ddsv’ appeared together. This is because the concept of ‘ddsv’ appears in many different forms throughout the text of Abhidharma.
    Harivarman, who said, ‘ddsv is possible from the second jhāna,’ focuses on explaining the difference in vitakka and vicāra to prove this. The key to the difference is the ability to withdraw one's mind from an object. You can control your disturbed state of mind with the power of meditation. Therefore, according to Harivarman’s argument, ‘the extinction of thoughts(vitakka) and ‘the deepening of the ability to be mindful’ are the source of pleasure. This is a condition for establishing ‘ddsh’.
    In the third question and answer, Harivarman emphasizes that the pleasure arising from free from desire is meant to destroy the five pleasures. In the fourth question and answer, we looked at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four types of samādhi practice, focusing on the Abhidharma 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