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빠알리어 접미사 tūna, tvāna, tvā에 관한 연구 __『깟짜야나 문법』, 『목갈라나 문법』, 『삿다니띠』를 중심으로__ (A Study on Pāli Suffixes tūna, tvāna, tvā with reference to Kaccāyana-vyākaraṇa, Moggallāna-vyākaraṇa, Saddanīti)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4.04
27P 미리보기
빠알리어 접미사 tūna, tvāna, tvā에 관한 연구 __『깟짜야나 문법』, 『목갈라나 문법』, 『삿다니띠』를 중심으로__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70호 / 125 ~ 151페이지
    · 저자명 : 김서리

    초록

    본고는 빠알리어 접미사 tūna, tvāna, tvā에 관한 연구로, 『깟짜야나 문법』, 『목갈라나 문법』, 『삿다니띠』의 관련 규칙을 분석하여, 이 접미사들의 약칭, 문법 범주, 기능, 대체 등을 살펴보았다. 세 문법서는 tūna, tvāna, tvā를 ‘tūnadayo(tūna 등등)’라고 약칭한다. tūna 등등은 어근에서 파생된 1차 파생어를 만들기 위해 어근에 직접 적용하는 접미사인 kita에 속한다. 이 파생어는 ‘명사’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불변화사이다.
    tūna 등등의 주요 기능은 앞선 시점의 행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 행위주체가 행하는 두 개 이상의 행위 가운데 앞선 시점의 행위를 나타내는 동사 어근 뒤에 접미사 tūna 등등이 붙고, 이 접미사가 붙은 단어는 주로 ‘~하고 나서’, ‘~한 후에’ 등으로 번역된다. tūna 등등의 부차적 기능으로, 한 행위주체의 두 개 이상의 행위 중 본동사와 동시 행위를 나타내거나 본동사보다 미래 행위를 나타내는 것, 또는 다른 행위주체의 앞선 행위를 나타내거나 원인을 나타내는 것 등이 있지만 사용 빈도는 낮다. tūna 등등의 형태 그대로 어근 뒤에 붙어 단어가 완성되기도 하지만, ya, acca, svāna, svā, mma, yha, jja, bbha, ddha로 대체되기도 한다.
    본 연구 주제와 관련된 규칙에 대해 『깟짜야나 문법』은 주요 기능을 다양한 예문과 함께 제시하고,『목갈라나 문법』은 문답을 활용하며, 『삿다니띠』는 다양한 활용 범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영어초록

    Words with the suffixes, ~tūna, ~tvāna, ~tvā often appears in Pāli Canon and western scholars have called them gerund, indeclinable (past) participle, or absolutive.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abbreviation, grammatical category, function, and substitution of these Pāli suffixes, namely, tūna, tvāna, tvā, focused on the relevant rules of Kaccāyana-vyākaraṇa(KV), Moggallāna-vyākaraṇa(MV), Saddanīti(Sadd).
    The suffixes tūna, tvāna, tvā in three grammar texts are abbreviated to tūnādayo(tūna etc.), tūnādayo belongs to kita, a class of suffixes that are applied directly to the verbal root to form primary derivatives. These derivatives are indeclinables that do not belong to the category of ‘noun’ that is declinable.
    The main function of tūnādayo is to express the preceding action in time. Out of two or more actions performed by one doer, tūnādayo are applied after the verbal root denoting the preceding action, and the words with this suffix are mainly translated into ‘having done’ and ‘after doing’. With regard to the secondary functions, the suffixes are used to denote the concurrent action of one doer, the future action than the main verb, the preceding action of different doers, or cause, but the frequency of use is low. And those suffixes are sometimes substituted by ya, acca, svāna, svā, mma, yha, jja, bbha, and ddha in some cases.
    With regard to the grammatical rules related to the subject of this study, KV presents main function along with various examples, MV uses questions and answers to enabl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of rules, and Sadd specifically presents various ranges of use,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examine tūnādayo in various ways of the three grammar texts.
    As the final process of this study, both suitability and fallacy of the modern term of words ending in tūnādayo were examined, through this process, the grammatical range and feature of words ending in tūnādayo became manifest. And one thing is clear that the suffix-centered description in KV, MV, Sadd regarding the grammatical topics such as tūnādayo are more accessible than to try to correspond to existing English or Korean grammatical catego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