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띠르소와 셰익스피어의 순수희극에 나타난 여성 비교-『궁전으로 간 수줍은 목동』과 『십이야(十二夜)』를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Femininity Appearing in Pure Comedies of Tirso and Shakespeare - Focusing on El vergonzoso en palacio and Twelfth Night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08.08
25P 미리보기
띠르소와 셰익스피어의 순수희극에 나타난 여성 비교-『궁전으로 간 수줍은 목동』과 『십이야(十二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국문학연구 / 31호 / 165 ~ 189페이지
    · 저자명 : 윤용욱

    초록

    영국이 낳은 세계적인 극작가 셰익스피어와 17세기 스페인의 대표적 극작가중의 한 명으로 우리에게 『돈 후안』의 작가로 더욱 잘 알려진 띠르소 데 몰리나는 각각 자신의 시대에서 여성 특유의 심리묘사와 여성에 대한 독특한 인물 창조에 뛰어난 재능을 발휘함으로써 자신들의 극 세계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을 부각시켰던 대표적인 극작가들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그들의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그들의 대표적인 순수희극작품들인 『궁전으로 간 수줍은 목동』과 『십이야』의 여주인공들을 서로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이 두 극작가가 여성을 통하여 극에서 추구하였던 바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띠르소의 희극 『궁전으로 간 수줍은 목동』의 여주인공인 마달레나와 세라피나는 자신들의 자유의지에 반해 배우자를 강요하는 아버지에 맞서 자신들의 마음에 드는 남성과 맺어지기 위해 몸부림친다. 그녀들은 이를 위해 명예와 목숨까지 거는 모험을 감행하고 결국 그녀들의 자유의지는 승리하고 만다. 그녀들의 자유의지를 향한 이러한 노력을 통해서 작가 띠르소는 어려움 속에서 특히 진가를 발휘하는 여성 특유의 강인함과 현명함을 부각시킴과 동시에 당시 스페인 사회가 지녔던 부조리한 사회적 패러다임에 대한 고발도 효과적으로 이루어내고 있는 것이다. 한편 셰익스피어는 『십이야』의 여주인공 바이올라를 통하여 좀 더 심오한 여성의 심리적 내면세계를 다루고 있다. 바이올라는 여행 중 배가 난파하는 바람에 죽을 위기에 처했으나 다행히 목숨을 건져 일리리아라는 곳으로 와서 남장을 한 채 그곳의 영주 오시노 공작의 시동으로 들어간다. 거기서 그녀는 오시노 공작을 사랑하게 되나 그가 구애중인 올리비아 백작에게 그의 마음을 전하는 심부름꾼 역할을 맡게 되며 복잡한 삼각관계에 말려들고 만다. 올리비아가 남장을 한 바이올라를 사랑하게 된 것이다. 여기서부터 바이올라의 여성으로서의 현명한 역할이 시작된다. 즉, 올리비아라는 실제 인물을 지나치게 관념적으로만 사랑하는 오시노와, 역시 오빠의 죽음에 지나치게 관념적으로 몰입한 나머지 타인의 사랑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올리비아를 관념의 세계로부터 끌고 나와, 그들에게 진정한 사랑이 무엇인지를 현실세계에서 일깨워주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바이올라는 남장을 풀고 여성으로서 오시노와 맺어지고 올리비아는 죽은 줄만 알았던 바이올라의 쌍둥이 오빠 세바스찬과 결혼하게 된다. 요컨대, 셰익스피어는 사랑의 매개자인 바이올라를 통하여 여성 특유의 가치와 남성이 가질 수 없는 여성 고유의 능력을 부각시킴으로써 당시 남성의 장식품에 불과하였던 왜곡된 여성상을 부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띠르소와 셰익스피어의 여성에 대한 시각은 노스롭 프라이의 희극이론에 비추어 보았을 때 한 가지 공통점을 발견하게 된다. 바로 화해와 화합을 통하여 좀 더 논리적인 질서가 지배하는 새로운 사회로의 이행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극의 말미에 이루어지는 해피엔딩과 이를 통한 남녀주인공들 간의 결혼을 통해 상징되어지는데, 구체적으로 『궁전으로 간 수줍은 목동』의 마달레나와 미레노, 그리고 세라피나와 안또니오의 결혼, 또한 『십이야』의 바이올라와 오시노, 그리고 올리비아와 세바스찬의 결혼이 바로 그것이다.

    영어초록

    Shakespeare is a world renowned play writer from England, and Tirso de Molina is well known as the author of Don Juan, as one of the 17th century’s famous play writers from Spain. Each of them raised the proportion of femininity in their own theatrical world by demonstrating their outstanding talents while describing peculiar feminine psychology and creating unique female characters of their t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spects that these two writers aspired through women by comparing main female characters of El vergonzoso en palacio and Twelfth Night which are two well known comedies that model such tendency.
    First of all, in Tirso’s comedy, El vergonzoso en palacio, Madalena and Serafina struggle to marry men of their desire against their father’s will. They risk their reputation and own lives and at the end, their free will finally triumph. Through such women’s effort toward free will, Tirso emphasizes women’s unique strength and wisdom that shine through difficulties while effectively revealing social irregularities that the Spain possessed during their times. On the other hand, Shakespeare deals with the women’s deeper psychological inner world through Viola, the main female character of Twelfth Night. Viola was in the verge of losing her life during a storm while traveling on a ship. When she survived, she becomes a page under a feudal lord, Orsino while posing as a man in a town called, Illyria. She falls in love with Orsino but as she becomes the messenger to his female of interest, Olivia, she is involved in a complex love triangle as Olivia falls in love with Viola. From this, Viola begins her wise role as a woman. In other words, she brings Orsino who is in excessive but conceptual love with Olivia and Orsino who cannot accept another person’s love due to her obsession over her brother’s death, out from their conceptual state to teach them about the true love in reality. As a result, Viola reveals herself as a woman to be with Orsino and Olivia marries Viola’s twin brother, Sebastian who was presumed dead. In short, Shakespeare accentuates the peculiar feminine ability that man does not possess through the messenger of love, Viola to deny the distorted image of women that were merely ornaments of men.
    Such perspective of women by Tirso and Shakespeare has one common ground to the theory of comedy by Northrop Frye. It is that it suggests a transfer to a new society that is based on the logical order through reconciliation and collaboration. This society is represented by the happy endings and the marriages between lead male and female characters. More specifically, they are the marriages between Madalena and Mireno, and Serafina and Antonio in El vergonzoso en palacio and Viola and Orsino, and Olivia and Sebastian in Twelfth Ni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