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밀교 성취법(sādhanā)의 구조분석- 아띠쌰(Atīśa) 법맥의 『백색 잠발라 성취법』을 중심으로 - (Structural analysis of the Vajrayana Sādhanā: Focusing on the “white Jambhala sādhanā” of the Atīśa traditio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1.12
24P 미리보기
밀교 성취법(sādhanā)의 구조분석- 아띠쌰(Atīśa) 법맥의 『백색 잠발라 성취법』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48호 / 129 ~ 152페이지
    · 저자명 : 박영빈

    초록

    인도불교의 마지막 흐름이었던 밀교는 그동안 발전을 거듭해온 인도불교의 교학과 의례의 형식으로 나타나는 수행법을 함께 수습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수행법들은 성불을 비롯하여 특정한 사안에 대한 성취를 얻고자 하는 다양한 성취법(sādhanā)으로 나타났다. 이들 성취법은 크게 식재(息災), 증익(增益), 경애(敬愛), 조복(調伏)의 4종의 범주로 분류되는데, 본 논문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백색 잠발라 성취법』은 재보신(財寶神)인 백색 잠발라(jambhala)를 공양하는 성취법으로 세속의 재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증익에 해당한다.
    백색 잠발라에 관한 수행법은 티베트 불교의 중흥조인 아띠쌰(Atīśa; 982- 1054.CE)가 티베트에 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티베트 불교에서는 대중적인 재보신으로 신앙되고 있다. 이 백색 잠발라에 대한 성취법은 수행자가 중생들을 위해 발심하고, 스스로를 본존으로 관상하는 등의 전형적인 밀교의 성취법의 구조를 갖추고 있다. 또한 재보라는 세속적인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수행법이라는 점이 일반적인 불교 수행과는 결을 달리하는 듯 보이지만, 이 성취법은 세간의 성취를 통해 출세간으로 나아가는 진속불이(眞俗不二)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밀교의 성취에서는 세간의 성취가 출세간의 성취를 이루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영어초록

    Vajrayana, which was the last flow of Indian Buddhism, shows the practice that combined form of Indian Buddhism's doctrines and Buddhist rituals. These practices were found to be various sādhanā to achieve on a specific shiddhi, including achieve enlightenment. These sādhanā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Peace(息災), Improvement(增益), Respect and Affection(敬愛), and Conquest(調伏), and the White jambhala sādhanā, which is analyzed in this paper, corresponds to Improvement with the aim of obtaining mundane property.
    The practice of white Jambhala is known to have been passed down to Tibet by Atīśa (982-1054, CE), the revival of Tibetan Buddhism, and is worshipped, to be a popular property deity in Tibetan Buddhism. The sādhanā for this white Jambhala has a typical structure of the sādhanā of Vajrayana Buddhism, such as the practitioner arouse Compassion for the Sentient beings and meditating himself as deity. Furthermore, the practice for achieving mundane property, seems to be different from the general theory of Buddhist practice, but this sādhanā contains the contents of the progression to unworldly success through worldly achie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