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띠(Bhakti) 사상의 기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igin of Bhakti Id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1.11
22P 미리보기
박띠(Bhakti) 사상의 기원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도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연구 / 16권 / 2호 / 69 ~ 90페이지
    · 저자명 : 유성욱

    초록

    인도 종교사에서 포스트-마우리야(Post-Maurya) 시대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신관(神觀)의 변화에 따른 신전의 발전이다. 박띠 사상은 바로 신관의 변화를 가져온 철학적 토대였으며, 『바가바드기따』에서 처음으로 체계적인 설명이 제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많은 학자들은 이 사상이 베다 종교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바가바드기따』에서 체계화된 것으로 이해하고 있는 반면, 일부 학자들은 불교에서 기원한 것이라는 주장을 제기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베다 종교와 불교에서 박띠 사상이 체계화되는 과정에 대해 관련 문헌과 교의적 발전 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그 사상이 체계화된 시기의 선후 문제를 확인하고, 사회적 전파와 종교 문화에 반영된 내용을 정리하는 방식을 취한다, 즉 그 기원에 대한 기존의 논쟁 근거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하는 방법인 것이다. 그 결과, 박띠 사상은 우빠니샤드에서 『바가바드기따』로 발전한 것이 아니라, 그보다 1-2세기 이전에 불교에서 붇다라는 스승에 대한 신뢰와 믿음이 그의 신격화를 통하여 깨달음을 성취한 존재, 즉 ‘신 또는 신적 존재에 대한 봉헌’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체계화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 사상이 포스트-마우리야 시대에 이르러 정치적 변화와 경제적 성장으로 인해 크게 확산된 것임을 밝힌다.

    영어초록

    From the viewpoint of religious history of India, the most striking feature of the Post-Mauryan Period is the great change in the concept of god. The initial basis for this change was provided by the emergence of bhakti idea, which can be translated into ‘loving devotion’. Many scholars have asserted that the idea of bhakti was derived from the Vedic Religion, because the first systematic exposition of it was given in the Bhagavadgīta. On the other hand, some scholars suggested the Buddhist origin of i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e the Buddhist origin by critically analyzing the literary texts related to the systematizing process of the idea of bhakti in both the Vedic religion and Buddhism. Furthermore, through the doctrinal development of the idea of bhakti in these different religious traditions, we can make a reasonable conjecture regarding the issue of precedence, that is, which one was the first to produce the idea of bhakti. Also, the propagation and reflection of this idea on the religious systems and culture of the time are discussed from different angles.
    As a conclusion, we assert that the idea of bhakti was originated from the changing idea about the Great Master, the Buddha, in Buddhism. In other words, the Buddha was elevated from an ethical teacher to the one who enlightened the Dhamma. This process occurred earlier than the Vedic religion in which the idea of bhakti was first explained systematically in the Bhagavadgīta. Thus, it might be argued that the idea of bhakti was originated from Buddhism, and became popular to spread into other religious traditions with the political changes and the growth of economy during the Post-Maurya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