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악(惡)의 전통적 개념에 대한 우리말 뜻매김 (Defining the Traditional Concept of Evil into a Proper Korean Term)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3.12
31P 미리보기
악(惡)의 전통적 개념에 대한 우리말 뜻매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하이데거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유럽철학연구 / 33호 / 223 ~ 253페이지
    · 저자명 : 구연상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우리(한국)의 전통에서 쓰인 ‘악(惡)의 개념들’을 주요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에 대한 올바른 뜻매김을 마련해 보는 데 있다. 여기서 다루어질 우리의 전통 철학자들은 노자, 순자, 공자, 맹자, 주자, 율곡, 장현광, 최한기 등이다. 이들은 크게 순자 계열과 주자 계열로 나뉠 수 있다.
    순자의 ‘악 개념’은 네 갈래로 뜻매김될 수 있다. ① ‘못된 마음 자체(미움,미워함, 샘내기, 강샘 부리기, 제몫부터 챙기려 하는 이기심)’, ② 그러한 마음으로부터 비롯된 ‘어지러운 세상’, ③ 어지러움을 틈타 훔치고 빼앗는 ‘몹쓸 짓들’, ④ 도덕적 타락 상태(더러움, 좋지 못함, 음란함, 음탕함, 저속함,퇴폐, 정서의 타락 등). 이러한 개념들은 다시금 ‘범분난리’, 즉 올바로 나뉜것을 어기는 일(범분, 犯分)과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어지럽히는 일(난리,亂理)이라는 ‘발생적 악 개념’에 포괄될 수 있고, 이는 다시금 편험패란(偏險悖亂), 풀어 말해, ‘서로 제 몫을 더 많이 차지하기 위해 싸움을 벌이고,도리에 어긋난 난폭한 행동을 하는 것’으로 종합적으로 뜻매김될 수 있다.
    주자로 대표되는 성리학의 ‘악 개념’은, 성리학이 성선설의 전제 위에서 펼쳐지기 때문에, 주제적으로 파악되지 못한 채 선(善)에 대한 부정, 즉 ‘어질지않음(不仁)’과 ‘착하지 않음(不善)’으로 뜻매김되고 있다. 주자의 악 개념은 사람들이 도심(道心)에서 멀어져 인심(人心) 또는 인욕(人慾)을 따라 사는 것,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마음의 네 실마리에서 어긋나거나 그것을 거스르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뜻매김은 율곡의 지나침과 모자람(過不及), 장현광(張顯光)의 ‘선(善)에 알맞지 못함(不中節)’, 최한기(崔漢綺)의 ‘기의 흐름을 거스르는 바람에 끝내 큰 화(禍)를 당함’에 이르기까지 그대로 유지된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s of evil(惡)’ used in Korean traditional context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 from several philosophers, and to define these concepts into a proper Korean term. Major sources of literature for this study comes from leading eastern philosophers such as Lao-tzu, Xun-zi, Confucius, Mencius, Chou Tuni, Yulgok, Jang Hyun-kwang, Choi Han-gi and so on, all of whom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Xun-zi and Zhu-xi-lines.
    First, the ‘concepts of evil’ of Xun-zi, who saw human nature as evil, include following four meanings: (1) an ‘evil mind itself’(hatred, dislike, greed, feeling jealous of, selfishness); (2) a ‘chaotic state of affairs’ caused by such state of minds; (3) ‘evil deeds’ of stealing and robbing arising from such chaos; (4) a state of ‘moral degeneration’(dirtiness, badness, obsceneness, lasciviousness, meretriciousness, corruption, depraved emotions etc.) All of these concepts can be incorporated in broad categories of ‘the evilness as a natural inclination’, or the state of violation of social division and disruption in the natural order or reason causing turmoil(犯分亂理), the superordinate concept of which is the state of strife, contention and a violence, going against culture and violate rational principle, in order to possess more(偏險悖亂).
    When it comes to the ‘concepts of evil’ in Neo-Confucianism, seeing human nature as perfectly moral, there has been few attempts to define the concept of ‘evil’ due to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and currently are merely defined as some negation terms of goodness such as ‘not being benevolent(不仁)’ and ‘not being virtuous(不善)’.
    Among others, Chou Tuni, who is the acknowledged exponent of Neo-Confucianism, his ‘concept of evil’ refers to the state of following and pursuing private and selfish mind and desire instead of the public and moral ones. To put it more concretely, it means denying and going against the ‘four clues’ of human mind. Such a definition has continuously had an influences on other scholars’ concepts on evil-Yulgok’s concepts of ‘excess and deficiency(過不及)’; Jang Hyun-gwang(張顯光)’s concepts of ‘being inappropriate to righteousness(不中節)’ and; Choi Han-gi(崔漢綺)’s concept of ‘suffering from disaster due to going against the flow of ener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유럽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