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연옥 희곡의 인정투쟁 양상 연구- ‘내가 까마귀였을 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cognition Struggle’ Aspect of Go, Yeon-Ok’s play -Focused on 「When I was a Rave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9.07
34P 미리보기
고연옥 희곡의 인정투쟁 양상 연구- ‘내가 까마귀였을 때’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문학 / 71권 / 71호 / 429 ~ 462페이지
    · 저자명 : 진주

    초록

    본 논문은 작품을 통한 고연옥의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사회비판과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사회상을 발견하려는 시도이다. 신화와 비극의 세계가 파국으로 치닫는 작품들이 주로 연구되면서, 고연옥의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대안적 사회상과 그 언어들은 소홀히 연구되었다.
    「내가 까마귀였을 때」는 그녀의 다른 작품과 달리 미래지향적 결말과 인정투쟁을 통한 긍정적 자기인식의 추구, 공동체의 회복이라는 주제를 그리고 있다. 특히, 작품의 주된 갈등을 촉발시키는 주인공 아이가 자신을 부정하는 공동체를 수용하게 되는 과정과 공동체로부터 자신 역시 수용되는 상호적 인정 과정은 주인공뿐만 아니라 각 등장인물이 긍정적인 자기 인식을 통해 자아를 형성하며 성숙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악셀 호네트의 ‘인정투쟁’의 주요 전제를 떠올리게 한다. 호네트에 따르면, 투쟁의 동기는 무시이며, 투쟁의 목표는 인정이다. 인정투쟁의 촉발 요인은 자기 존엄에 대한 부정이며, 무시로 인하여 부정당한 자기 존중을 되찾는 과정이다. 그는 이러한 인정투쟁 모델을 통해 사회의 역동성을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사회의 병리적 현상을 분석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
    아이의 인정투쟁은 위협적인 태도를 취하지만, 그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는 자신을 타자화하는 가족 구성원들에게 무시당한 자기 존중, 자신의 존엄성을 되찾는 것이다. 그의 투쟁은 개인의 투쟁으로 그치지 않고, 그의 투쟁은 그의 형제 자매들이 각자의 욕망과 자아를 발견하도록 돕는다. 이 작품은 ‘중산층’과 ‘정상 가족’에 대한 풍자보다는, 각자가 지닌 진실에 대면하여 올바른 개개인의 정체성을 확립해나가는 모습을 보여주고자 한다.
    가족들은 기존의 내면화된 가부장적 위계질서에서 벗어나, 가족 구성원 개개인은 동등하고 평등한 관계로 서로의 관계를 인정함으로써 자신들도 존재할 수 있음을 깨닫는다. 구성원의 개성과 선택을 존중하면서, 공동체의 영역을 물리적으로, 또 관념적으로 확장하려는 시도를 보여주고자 한다. 작가는 사회적 위기 속에서 균열과 붕괴를 겪은 현실 공간과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서로를 거부하거나 부정하지 않고, 동등한 존재로 받아들이며, 있는 그대로의 공간과 존재로서 서로를 존중할 때 진정한 재생과 회복이 시작된다는 것을 역설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Go, Yeon-Ok’s practical, specific social criticism and a alternative social aspect through her works. As the myths and tragedies of her works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the practical and specific alternatives of the playwright and her languages have been neglected.
    「When I was a Raven」 is different for other works about the point that the play have futuristic ending and recover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self-recognition by the members.
    In particular, the process in which the main character ‘Boy’ embraces the community denying himself and the mutual recognition process in which the boy is accepted from the community is the process of not only the main character but also each character is meeting, In this regard, it reminds the main premise of Honneth's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According to Axel Honneth, the motive of struggle is disrespect, and the goal of the struggle is recognition. The cause of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is the negation of self - dignity and the process of regaining unjust self - esteem due to neglect. He tried to explain the dynamics of society through this model of recognition struggle, and hoped that he could analyze the pathological phenomenon of society.
    The boy's recognition struggle takes a threatening attitude. His goal, however, is not to threaten his family, but to regain self-esteem and his dignity that are ignored by family members. His struggle is not just about his own. His struggle helps his brother and sister discover their own desires and selves. This work deals with 'middle class' and 'normal family' but does not aim at satire of a certain class. Rather, it shows how to establish the right individual identity in face of each person's truth.
    This Family recognize that each other can exist in one another through equal mutual recognition, not hierarchical order. It shows an attempt to extend the domain of the community physically and ideologically, while respecting the individuality and choice of the family members.
    The playwright says that the real space and community members who have undergone cracks and collapses in the social crisis accept each other as equal, not ignoring or denying one another, and real regeneration and recovery begin when they respect each other as space and existence as they a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