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념처경』의 4념처관과 『요가 수뜨라』의 아슈땅가 요가 - ‘구조와 수행 원리’를 중심으로 - (Cattāro Satipaṭṭhānā Vippasanā in Mahāparinibbāna-sutta and Aṣṭaṅga Yoga in Patañjala yoga sūtra - With Priority Given to ‘The System and Practical Principle’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7.12
29P 미리보기
『대념처경』의 4념처관과 『요가 수뜨라』의 아슈땅가 요가 - ‘구조와 수행 원리’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32호 / 339 ~ 367페이지
    · 저자명 : 정영자

    초록

    4념처관과 아슈땅가 요가는 모두 자신들의 종교적․철학적 지향점을 완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 결과 존재의 ‘최상의 행복(nibbāna, 혹은 kaivalya)’을 성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수행의 태도로 4념처관은 ‘sampajaño-satimā(철두철미한 알아차림과 깨어있음)’과 ‘anissita(떨어져서 바라봄)’를, 아슈땅가 요가는 abhyāsa(자각의 상태를 유지하려는 노력)와 vairāgya(떨어져서 바라봄)를 제시한다. 또한 ‘satipaṭṭhāna(알아차림의 확립)’는 ‘수행자가 느낌(vedanā)의 차원에서 마음과 몸의 연속적인 알아차림을 지속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한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abhyāsa는 (마음을) 안정되게 하려는 노력으로, 그 것은 오랜 시간동안, 중단 없는 노력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로 수행되어질 때 확고한 경지에 이르게 된다’라는 경구의 뜻 그대로 이해될 때의 ‘abhyāsa’와 맥을 같이 한다.
    아슈땅가 요가는 구조적인 면에서도 4념처관과 연과지어 이해할 수 있다. 수행자는 평상시 야마와 니야마 실천을 하면서, ‘안정되고 편안하게 앉아(āsana)’, 몸에서 몸과 호흡의 현상을 관찰하고(āsana와 prāṇāyāma―身念處觀), 5감각기관을 통해서 인식되는 느낌에서 느낌을 관찰하고(pratyāhāra―受念處觀), 마음에서 마음의 현상을 관찰하면서(dhāraṇā, dhyāna, samādhi, 즉 saṃyama―心念處觀) 머무는 것이다. 그 결과 대표적으로, ‘전변하는 쁘라끄리띠는 진정한 나가 아니구나, 그 모든 사정을 보는 자인 뿌루샤가 진정한 나이구나’라고 아는 존재에 대한 지혜(viveka-khyāti―法念處觀)가 생긴다는 것이다. 간단하게 말하면, 1~3시간, 혹은 더 짧거나 길게, 안정되고 편안하게 앉아,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에 집중하여 삼매에 들기까지의 한 과정을 나누어서 체계적으로 설명한 것이 아슈땅가 요가일 수 있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fourfold stage of meditation(cattāro satipaṭṭhānā vippasanā) and aṣṭaṅga yoga are all means to complete their religious and philosophical goals so it aim to accomplish ‘the ultimate happiness (nibbāna, or kaivalya)’ of existence’. To reach that goal, as the attitude of practice, cattāro satipaṭṭhānā vippasanā suggest ‘sampajaño- satimā(constant thorough understanding and awareness)’ and ‘anissita (look away)’, and aṣṭaṅga-yoga Yoga do abhyāsa (effort to maintain) and vairāgya (look away). And, ‘satipaṭṭhāna(establishing of awareness)’ implies that ‘the meditator must actively try to maintain continuous consciousness of mind and body at the level of feeling (vedanā)’. When ‘abhyāsa’ can be understood, as the meaning of the phrase, that is carried out for a long time, with uninterrupted effort and positively accepting attitude to make the mind stable, ‘satipaṭṭhāna’ and ‘abhyāsa’ are related.
    Structurally, on the other hands, the aṣṭaṅga yoga can be understood in relation with cattāro satipaṭṭhānā vippasanā. The meditator, while practicing yama and niyama all the time, sitting in ‘a stable and comfortable place (āsana)’, observes the phenomenon of body and breathing (āsana and prāṇāyāma, kāyānupassanā), the feeling in the feeling (pratyāhāra, vedanānupassanā), and the phenomenon of the mind from the mind (dhāraṇā, dhyāna, samādhi, i.g. saṃyama, cittānupassanā). As a result, he got the wisdom about ‘the one who known prakṛti is changing so, that is not a “me” and the one who sees all things, he is a true self, a puruṣa’(viveka-khyāti, dhammānupassanā). Simply put, aṣṭaṅga yoga is a systematic description of a process that takes about one to three hours, shorter or longer, straightening the spine, sitting in a stable and comfortable position, focusing on the phenomena taking place in the body and m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