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월중도』의 땅이름에 보이는 충절정신 - 금강ㆍ낙화암ㆍ민충사를 중심으로 - (Historical Perspectives on Loyalty Depicted in the Place-Names in Woljung-do: Focusing on Geumgang, Nakhwaam, and Minchungs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8.04
29P 미리보기
『월중도』의 땅이름에 보이는 충절정신 - 금강ㆍ낙화암ㆍ민충사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39호 / 301 ~ 329페이지
    · 저자명 : 신종원

    초록

    강원도 영월군을 흐르는 東江은 또한 錦江으로도 알려져 있다. 금강은 (江岸의) 절벽을 고상하게 표현한 ‘비단가리개’ 즉 錦障江을 줄인 말이다. 지식인들은 이 동강을 백제의 금강에 비견하여 인위적으로 금강이라고 불렀으나 사람들은 잘 모른다. (백제의) 금강에서는 왕조가 망할 때(660) 수많은 宮女들이 (낙화암에서) 떨어져 죽었다고 한다. 그들 지식인들은 단종이 돌아가셨을 때도 많은 궁녀들이 영월 동강에서 충군애국의 행위로 물에 빠져 죽었다고 (주장)한다. 마침내 조선왕조에서는 궁녀들이 빠져죽었다는 영월의 절벽에 사당 민충사를 세워 궁녀들의 원혼을 위무할 뿐만 아니라 ‘落花巖’이라고 새긴 기념돌을 세웠다. 하지만 이 사당 자리는 원래 마을에서 익사자(자살자 포함)들의 원혼을 풀어주던 자리였고, 단종이 돌아가신 뒤 그 시종들의 명복을 비는 장소였다. 나라에서는 종래의 물귀신 신주(넋)에다 다시 몇 명의 애국충군 원혼을 더하여 제도권에 넣었다. 그것은 백성들에게 충절정신을 교육, 강화하려는 의도였다.

    영어초록

    The Donggang River - East River - which flows across Yeongwol-gun, Gangwon-do, Korea, is also known as Geumgang. Geumgang is an abbreviation for ‘Geumjanggang’, named after a cliff by the riverside, which was often likened to ‘a silk screen.’ The provenance of this river’s name was not well-known to the public, and it was thought to have come from the demise of Baekje Kingdom. It is said that “three thousand” court ladies jumped off the cliff into the Geumgang River when the Baekju Kindom fell in 660. The literati of the time also claimed that King Danjong’s servants committed suicide in the river out of loyalty to the king when King Danjong passed away. Consequently, Minchungsa was built in 1742 in order to commemorate the loyal servants, with a stele by its side, where ‘Nakhwa-am’ -flowers had fallen here- was engraved.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temple, this space was used by the local residents to conduct rituals for drowned people. In a way, the state imposed irrelevant spirits onto the naturally-occurred local alter by sovereign authority. The underlying intention of doing so was to edify people to be loyal to the st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