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쌍쓰끄리땀의 아누쓰바라와 콧소리 표기, 그 역사적 맥락과 표기 원칙 (Writing anusvāra and nasal consonants in Sanskrit, the question of principle and its historical context for practical orientatio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8.12
39P 미리보기
쌍쓰끄리땀의 아누쓰바라와 콧소리 표기, 그 역사적 맥락과 표기 원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54호 / 123 ~ 161페이지
    · 저자명 : 강성용

    초록

    쌍쓰끄리땀의 표기에서 콧소리(nasal)의 표기와 아누쓰바라(anusvāra)의 사용에 대한 한 상당한 정도의 혼란이 상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근본적인 이유는 빠니니문법의 해석을 잘못 이해한 전문가들의 태도 때문이라고 보인다. 키파스키(Kiparsky)의 해석에 따라 분명히 “더 바람직한” 표기방식이 규정되어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P.8.4.58~59의 규정에 따라 더 바람직한 표기방식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그러한 결정의 역사적 의미와 맥락을 규명한다. 이를 위해 『따읻띠리야쁘라띠샤캬』(Taittirīyaprātiśākhya)를 중심으로 역사적인 다양한 분석들을 살피고 그 공통분모를 추출하여 콧소리가 문제되는 맥락을 살핀다. 이를 통해 실용적이고 구체적인 표기의 원칙을 독자들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아누쓰바라가 쓰일 수 있는 세 경우를 구분하고 이 경우들의 맥락에 따라 일관된 표기 원칙을 따라야 함을 밝힌다. 터짐소리 자음 앞에서는 -m이 각 터짐소리와 한무리인 콧소리로 발음되는 경우이므로 같은 무리에 속하는 콧소리 혹은 아누쓰바라 사용할 수 있지만, 빠니니문법에 따른다면 후자가 바람직한 표기라는 것을 밝힌다. 결국 일관되게 “sāṃkhya”, “saṃjñā”, “saṃtāna”로 표기하거나 “sāṅkhya”, “sañjñā”, “santāna”로 표기하거나 한 쪽을 택할 수는 있겠지만 후자가 바람직하다는 말이다.
    추가로 Monier-Williams의 사전에서 “haṃsa”를 “haṉsa”로 표기하여 역사적 어원을 밝히고자 한 시도 등등이 왜 무의미하거나 부작용이 더 큰 시도인지 해명된다.

    영어초록

    The majority of Sanskrit researchers are confronted with diverse, or rather chaotic conventions in writing and using anusvāra and other nasals in Sanskrit writing. To make matters worse, it seems difficult to find references to clear and pragmatic answers to these questions. It is very strange to observe this situation even in times when there are numerous scholars who are worthy of giving authoritative answers. The reason for the hesitation of experts, I guess, to give a plain and definitive answer comes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 alternative possibilities given in the Pāṇinian rules.
    But as Kiparsky reveals in his book of the year of 1980, the Pāṇinian sūtra, P.8.5.49 does not just present a simple alternative possibility, but a suggestion of a more preferable articulation. Based on further assumptions that Sanskrit is written as pronounced, and that we ignore the practical limitations given by the historical developments of Indian scripts, we are able to give clear and unequivocal directions of how and how far anusvāra and (savarga) nasal consonants are to be used.
    This orthographic question is related to a multi-layered and diverse historical problems. One part of it is the phonetic and phonemic analysis of the anusvāra sound, in contrast to anunāsika. I review some discussions around this theme presented in some prātiśākhya texts, which have relevance to Pāṇinian standpoint. The Taittirīya-Prātiśākhya is mainly consulted for the reason that it gives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differences among the numerous prātiśākhya traditions as well as the different opinions in the same tradition itself. After distinguishing some historically connected issues to the theme, I would like to present a practical and clear suggestions to the orthographic orientation in writing nasal sounds in Sanskrit in general. Three cases of anusvāra sounds are sorted out and the principle of consistency to be followed in orthography is clarified. Furthermore, the preferable way of writing nasal sounds in Sanskrit is suggested for practical uses.
    In the closing, some problematic attempts observable in the Monier-Williams’ dictionary to represent some historical analysis of the nasal sounds in a very sporadic way is reviewed in a clarifying and critical w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