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 무속 신화 속 쫓겨난 딸들의 신직 좌정과 문화적 의미 (The Dedication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Daughters Expelled from the Myth of Shamanism in Jeju)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0.09
29P 미리보기
제주 무속 신화 속 쫓겨난 딸들의 신직 좌정과 문화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호학회
    · 수록지 정보 : 기호학 연구 / 64권 / 65 ~ 93페이지
    · 저자명 : 이향애

    초록

    본 연구는 제주도 여신 신화에서 아버지에 의해 쫓겨난 딸들의 신직좌정 과정과 그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버지와 딸은 가족과 혈연 보다 상위 차원의가치인 유교적 규범에 의해 갈등하고 대립한다. 결국 위계상 하위에 있는 주변적 존재인 딸이 아버지에 의해 집에서 추방당한다. 딸들이 집에서 쫓겨나는 이유는 유교적 규범에 맞지 않은 행동과 말을 했기 때문이다. 신화에서는 집을 나간 이후 여성들의 어려움을 공간 묘사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묘사는 남성들을 주인공으로 하는 신화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여성이 외부 공간으로 나아가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잘 보여준다.
    여성들의 길 떠남은 아버지를 중심으로 한 기존의 가족 관계 및 질서와 단절하고새로운 자기 정체성을 세우며 나아가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의관계를 보면, 안전할 것 같은 내부 공간은 불안전한 반면에 위험할 것 같은 외부 공간은 여러 가능성이 열려 있는 공간이다. 여성 인물들의 공간 이동은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의 가치가 전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나아가 문화 유형론의 관점에서 보면 주변적 존재인 딸들이 신으로 좌정하면서 새로운 공간의 중심이 되는 것은 문화의 체계 내부에서 중심과 주변이 자리를 바꾸는메커니즘과 유사하다. 쫓겨나는 딸들의 신직 좌정 과정은 주변적 요소가 문화의 중심으로 나아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agery and meaning of border people through daughters expelled by fathers in the myth of the goddess of Jeju Island. Fathers and daughters are in conflict and confrontation based on Confucian norms, which are values higher than family and blood ties. Eventually, the daughter, a marginal entity at the bottom of the hierarchy, is expelled from the house by her father. The reason the daughters are expelled from the home is because they acted and spoken against Confucian norms. Mythology shows the difficulties of women after leaving the house through space descriptions. This description shows how difficult it is for a woman to go to the outside space as it is difficult to find in the myth of men as the main characters.
    Women’s departure is a process of breaking off from the existing family relations and order centered on the father and establishing a new self-identity.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through this, the inner space that is likely to be safe is unsafe, while the outer space that is likely to be dangerous is a space that has many possibilities. The movement of female characters in space shows that the value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that are commonly thought of are being carried over.
    Furthermor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typology, the fact that daughters, who are peripheral beings, become the center of a new space while sitting as gods, is similar to the mechanism in which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change positions within the system of culture. The process of sequestering the daughters who are driven out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in which peripheral elements move to the center of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호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