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마트폰 딸노릇하기 : 북한 초국가적 가족 실천과 이동전화 (Smartphone Daughtering : North Korean Transnational Family Practices and Mobile Phone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3.06
30P 미리보기
스마트폰 딸노릇하기 : 북한 초국가적 가족 실천과 이동전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7권 / 3호 / 50 ~ 79페이지
    · 저자명 : 채석진

    초록

    이 논문은 한국에 거주하는 북한 출신 이주민들이 어떻게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북한에 남아있는 가족들과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지 탐사한다. 이 과정에서 북한 이주민의 스마트폰 사용을 이주로 파생되는 가족 분리와 초국가적 커뮤니케이션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지난 수십년 동안 심화된 노동의 국제적 분업과 이주의 여성화 과정은 저개발국가에서 광범위한 가족 분리 현상으로 이어지며, 수많은 초국가적 가족을 만들어왔다. 오랜 기간 국제적인 경제제재를 받아 온 북한에서도 가족 구성원이 해외로 이주하여 보내주는 임금이 주요한 경제적 자원이 되어왔다. 한국은 북한 이주 노동자들의 주요한 도착지로, 많은 북한 이주민이 북한에 남아 있는 가족들의 생활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여, 이 연구는 북한 출신 이주민들의 스마트폰 사용을 초국가적 가족 실천과 초국가적 커뮤니케이션의 부분으로 이해하고자 시도한다. 이를 위해 먼저 초국가적 가족 실천과 미디어 사용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들의 논의를 살펴보고, 북한 여성 이주민에 관한 연구를 검토한다. 다음으로 한 북한 여성 이주민의 이야기를 통해서, 현재 스마트폰을 매개로 수행되고 있는 초국가적 가족 실천의 속성과 양식을 탐색한다. 이 과정에서 이 글은 그동안 ‘엄마노릇하기’를 중심으로 진행된 초국가적 가족 실천 연구 경향 속에서 간과되었던 ‘딸노릇하기’를 드러내고, 언어적·정서적 교환만이 아니라 경제적 교환을 주요한 초국가적 가족 실천으로 조명한다. 북한 초국가적 가족들에게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의 확장은 공식적인 통신망의 제약을 넘어선 비공식적인 연결망의 확산을 촉진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이 과정에 관한 기술적 감시의 확장으로 경험되고 있었다. 이 속에서 북한 이주 여성은 생계부양자로서의 딸노릇을 하기 위해 감행한 초국가적 이주가 가족에 대한 실질적인 돌봄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모순을 마주하고 있으며, 이러한 모순을 스마트폰을 매개로 딸노릇하기를 수행하며 협상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ores how North Korean migrants living in South Korea maintain intimate relationships with their families in North Korea via smartphone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acts of transnational communication between North Korean migrants and their family members left behind in North Korea. In this article, transnational communication refers to the flow of ideas, information, goods, money, and emotion. The existing research on contemporary transnational migration has shown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and family separation as one of the social costs of migration. Studies have shown that transnational migrants have developed some solutions for responding to the care needs of left-behind family members and the maintenance of relationships within such transnational families depends heavily on mediated distant communication. In addition, studies have revealed that despite their physical absence due to migration, the gendered family roles of women as wives, mothers, and daughters persist in those mediated family practices. Similarly, given the legal impediments to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the North Korean migrants have developed informal or illegal solutions to continue emotional and practical care for their family members in North Korea.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s enable them to create new forms of social interaction,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that transcend state borders, which are largely mediated by smartphones.
    Drawing on a two-year ethnographic fieldwork,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how North Korean immigrants use smartphones to maintain transnational family relationships. In doing so, this article understands the use of smartphones by North Korean migrants as an integral part of their transnational family practices and transnational communication. This article consists of three sections. It first reviews the existing ethnographic research on the link between transnational family practices and media use. Then it delivers the story of Mi-young, a North Korean female migrant, who has been maintaining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her elderly parents and younger brother living in North Korea in a situation of extended absence. Mi-young's transnational family practices have been interwoven with her attempts to reduce the vulnerability of life. Although her decision to migrate is made mainly to reduce the economic vulnerability of her family, her physical absence significantly limits her ability to offer daily practical care for them. Mi-Young has been trying to deal with this contradiction by performing emotional and economic support from a distance with her smartphones, which I term 'smartphone daughtering' in this article. This article sheds light on the acts of transnational daughterhood, which have been overlooked in transnational family communication research with an overwhelming interest in motherho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