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문록계 소설에 나타난 딸의 양상과 의미 (A Study of the Daughter's Appearance and Meaning in Yangmunrok novels)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3.12
39P 미리보기
양문록계 소설에 나타난 딸의 양상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연구 / 64호 / 219 ~ 257페이지
    · 저자명 : 김은일

    초록

    이 연구는 양문록계 소설에 나타난 딸의 양상을 통해 양문록계 소설의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문록계 소설은 국문장편소설 및 여성영웅소설과 교섭 관계를 맺으며 당대의 소설 장르가 혼효되어 있는 양상을 보인다. 기존의 연구에서 ‘여성’을 연구하거나 ‘아내’를 연구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딸을 중심으로 살펴본 연구는 흔치 않았다. 양문록계 소설은 여성의 삶의 구조와 유사한 서사구조를 갖는바, 이 글에서는 양문록계 소설의 구조적 특징을 바탕으로 ‘딸’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온전히 국문장편소설의 자장에서 이해되는 <곽장양문록>과 <유이양문록>의 경우 삼대록계 소설에서는 딸이 고난을 겪을 때 친정이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딸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반면, 양문록계 소설에서는 친정이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양상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둘째, 여성영웅소설의 자장에서 이해되는 <부장양문록>, <하진양문록>, <이조양문록>의 경우 여성영웅소설의 주인공과 유사하면서도 ‘친정 가문’에 대한 의식을 얼마나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양문록계 소설은 국문장편소설에 비해 시댁 가문보다는 친정 가문에 대한 딸의 감정을 더 많이 드러내며, 여성영웅소설에 비해 친정을 의식하는 딸의 모습이 더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 후기는 가부장제의 제도적 안정을 꾀하기 위해 출가외인 담론을 바탕으로 며느리 만들기에 주력하던 시기였다. 양문록계 소설은 다른 유형의 소설에 비해 상대적으로 며느리 만들기보다 딸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것을 강조한다. 나아가 개인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작품도 등장하면서 당대 여성 향유층의 소망을 구현하는 서사를 한층 섬세하게 드러내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Daughter's Appearance and Meaning in Yangmunrok novels through an analysis of the portrayal of daughters in these novels. Yangmunrok novels exhibit a distinctive narrative structure, intertwined with Korean full-length novels and female heroic novels of the time. Given the narrative structure similarities between Yangmunrok novels and the structure of women's lives, this paper directs attention to the theme of 'daughter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Yangmunrok novels.
    As a result, firstly,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register novels such as <Gwak JangYangmunrok> and <Yu-IYangmunrok>, it was observed that when daughters face adversity, the family does not actively intervene to resolve the daughter's issues in the three-generation register novels. In contrast, Yangmunrok novels exhibit a pattern where the family actively intervenes in addressing the daughter's problems.
    Secondly, in the context of female hero novels such as <BuJangYangmunrok>, <HaJinYangmunrok>, and <I-joYangmunrok>, differences were noted in the degree of consciousness regarding the 'ancestral family.' While all novels share similarities with female hero novels' protagonists, there are variations in the degree of emphasis on the awareness and determination toward the ancestral family. Specifically, <HaJinYangmunrok> expresses a strong determination and consciousness toward the ancestral family, whereas <BuJangYangmunrok> and <I-joYangmunrok> reveal a consciousness of the ancestral family but tend to highlight individual fulfillment.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observed that Yangmunrok novels, compared to Korean short fiction, more prominently depict the emotions of the paternal family rather than the in-law family, and they portray the emotions of daughters more extensively than female hero novel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re was a focus on constructing daughter-in-law figures based on discourse to achieve stability in the patriarchal system. Novels depict instances where conflicts arise between the creation of daughter-in-law figures and the desire to live as daughters. Yangmunrok novels, in particular, emphasize the identity of daughters compared to other types of novels. Furthermore, as works highlighting individual identity emerged, these novels delicately expressed narratives that realized the aspirations of contemporary women in the upper cla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