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딥러닝 관련 발명의 특허법상 보호 방안에 대한 연구 (Study on how to protect deep-learning-related inventions under the Korean Patent Ac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0.02
32P 미리보기
딥러닝 관련 발명의 특허법상 보호 방안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법학 / 86호 / 347 ~ 378페이지
    · 저자명 : 전용철

    초록

    딥러닝 기술은 컴퓨터가 사물 등을 구분하기 위한 개념을 가지기 위해 ‘학습’을 수행하며,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 모델이 가지는 구조가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딥러닝 기술은 인간이 개념을 받아들이기 위한 신경적 구조와 활동을 컴퓨터 기술에 접목한 신경망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최근 그래픽 카드 등 하드웨어의 연산처리 능력이 높아지고 신경망 기술의 이론적 뒷받침이 이루어지면서 딥러닝 기술의 성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술이 가지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딥러닝 기술에관한 변천과 주요 딥러닝 기술에 대한 내용 및 이와 관련된 특허권들의 청구범위를 살펴보았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술이 가지는 특성을 감안하여 딥러닝 모델 구조가 변경된 경우와 기존 딥러닝 모델이 특유 목적에 맞게 접목된 경우로 구분하여 딥러닝 관련 발명의 특허 등록 가능성 확보 방안을 검토하였으며, 특허 등록 후 침해 주장 시 입증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한실무적 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딥러닝 기술과 관련한 발명의 경우 발명의 성립성과 진보성 요건 등 특허성 요건을 판단함에 있어서 컴퓨터 관련 발명의 일종으로 취급될 수 있다. 최근 컴퓨터 관련 발명의 특허 적격성 판단과 관련하여 미국에서의 Alice 판결등 주요 판례가 주목받고 있고 이에 따라 미국과 우리나라에서의 심사기준에도 변동이 있어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관련 발명의 특허 적격성 판단에 대한미국 판례의 변천을 살펴본 후 우리나라의 특허법 규정 및 2019년 3월 개정된 특허청의 특허․실용신안 심사기준을 검토하였다.

    영어초록

    Deep learning is a technology to perform “learning” so that computers can adopt concepts to distinguish objects and the like. Deep-learning technolog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s of learning models for performing “learning” are “deep”. Deep-learning technology is based on neural-network technology in which neural structures and activities that enable human beings to accommodate concepts are grafted onto the computer technology. Recently, neural network technology has been underpinned by theory owning to the increased operational processing capacity of hardware units such as graphics cards, and remarkable performance of deep-learning technology has been exhibi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perties of deep-learning technology, changes in deep-learning technology, major aspects of deep-learning technology, and the claims of patented inventions relating to deep-learning technology are reviewed in this paper. Also, considering the properties of deep-learning technology, cases are divided into cases where deeplearning model structures are changed and cases where conventional deep-learning models are grafted onto deep-learning technology so as to comply with specific objectives. On this basis, how to secure the patentability of deep-learning-related inventions is reviewed in this paper, and how to easily demonstrate patent infringement after the deeplearning- related inventions are patented is also reviewed in practical terms.
    In the case of deep-learning-related inventions, they may be handled as a kind of computer-related inventions when the patentability requirements thereof are determined in terms of whether the subject matters thereof establishes inventions and they meet inventiveness requirements, etc..
    Recently, with respect to the patent eligibility determination of computer-related inventions, important precedents including the Alice Corp.
    judgment in the United States have drawn attention, and examination guidelines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have changed accordingly. In this regard, in this paper I review changes in US precedents on patent eligibility determination of computer-related inventions, and then review the Korean Patent Act and patent and utility model examination guidelines, which were revised in March 2019 by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