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승불교의 형성과 ‘페르시아-베딕(Vedic)’ 종교의 융합- 아미타불과 서방정토 신앙의 형성을 중심으로 - (The Formation of Mahayana Buddhism and the Convergence of ‘Persian-Vedic’ Religion: Based on the formation of Amitabha Buddha and Western Pure Land belief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4.12
31P 미리보기
대승불교의 형성과 ‘페르시아-베딕(Vedic)’ 종교의 융합- 아미타불과 서방정토 신앙의 형성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66호 / 317 ~ 347페이지
    · 저자명 : 박용태

    초록

    일본 불교학계를 선두로 하는 대승불교의 기원 연구는 그동안 불교와 페르시아 문화권의 접변(接變)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특히 페르시아 문화권에서 불교의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이 대승비불론(大乘非佛論)과 같이 불교의 변질이나, 불교가 페르시아 종교에 의해 흡수되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리어 페르시아 전통 종교의 신격(神格)들을 불교의 교리와 사상체계 안에서 재해석하고 원융(圓融)하는 과정을 통하여 불교의 외연을 더욱 넓힐 수 있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실제 대승불교가 전통 인도 불교의 사상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고 분석하는 마에다 에운(前田慧雲)의 등의 시각과 페르시아 전통종교 사상에는 크게 나타나지 않는 공(空) 사상과 법무아론(法無我論)이 대승불교의 핵심교리가 된 것 등은 새로운 문화권의 패러다임 속에서 대승불교가 페르시아 전통종교를 주체적으로 융합하여 회통시켰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대승불교의 아미타불 신앙과 보살 신앙이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터교와 상호 통섭 융합과정에서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론하는 바삼(A. L. Basham)의 분석은, 페르시아 문화권으로 전파된 불교가 페르시아의 전통종교인 조로아스터교와 융합 회통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에 대한 연구 성과로 이해할 수 있다.
    곧 인도 불교 내 역사적 발전과 전개에 따른 공사상과 법무아론의 출현과 교리적 완성, 그리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문화권으로 전파되며 조로아스터교 등 페르시아 종교와의 융합을 통한 아미타불 사상과 각 보살 신앙이 출현하고, 불탑신앙과 같은 신앙적 요소가 나타나는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대승불교가 형성 구축되었다는 추론을 제시하기에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research on the origins of Mahayana Buddhism, which leads the field of Buddhist studies in Japan, has been relatively lacking in the study of the interaction between Buddhism and Persian cultural spheres.
    In particular, the new paradigm shift of Buddhism in the Persian cultural sphere does not mean a distortion of Buddhism or that it was absorbed by Persian religions, as suggested by theories such as the Mahayana non-Buddhism(大乘非佛論).
    On the contrary, through the process of reinterpreting and integrating the deities of Persian traditional religions into Buddhist doctrine and thought, it also means that Buddhism’s scope could be expanded even further.
    In fact, scholars like Maeda Eun (前田慧雲), who analyze Mahayana Buddhism as inheriting the philosophical traditions of traditional Indian Buddhism, point out that Mahayana Buddhism’s core doctrines—such as the concepts of emptiness (空, sunyata) and non-self (法無我論, anatman)—which are largely absent in Persian traditional religions, became central to Mahayana thought.
    This shows that Mahayana Buddhism, within the paradigm of a new cultural sphere, actively integrated and harmonized Persian traditional religious elements.
    In this sense, A. L. Basham's analysis, which suggests that the faith in Amitabha Buddha and the belief in Bodhisattvas within Mahayana Buddhism were formed through a process of mutual integration and fusion with Zoroastrianism, implies that Buddhism’s spread into the Persian cultural sphere marked a paradigm shift where it fused with the traditional Persian religion of Zoroastrianism.
    Thus, it can be hypothesized that as Indian Buddhism evolved and developed historically, doctrines such as the concept of emptiness (空) and non-self (法無我論) emerged, leading to the completion of Buddhist doctrine. From there, as Buddhism spread into new cultural spheres, it merged with Persian religions such as Zoroastrianism, which led to the emergence of the Amitabha doctrine and Bodhisattva beliefs. Religious elements such as stupa worship also infiltrated, and Mahayana Buddhism was constructed and established in this new paradig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