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00년 이후 ‘방리유 영화’ 공간 연구: 압델라티프 케시시의 <레스키브>(2003), 자크 오디아르의 <디판>(2015), 라지 리의 <레미제라블>(2019)을 중심으로 (Étude sur l’Espace de trois films des banlieues depuis 2000:L’Esquive(2003) d’Abdellatif Kechiche, Dheepan(2015) de Jacques Audiard et Les Misérables(2019) de Ladj L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3.06
25P 미리보기
2000년 이후 ‘방리유 영화’ 공간 연구: 압델라티프 케시시의 &lt;레스키브&gt;(2003), 자크 오디아르의 &lt;디판&gt;(2015), 라지 리의 &lt;레미제라블&gt;(2019)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프랑스 문화 연구 / 57권 / 1호 / 117 ~ 141페이지
    · 저자명 : 박지회

    초록

    본 연구는 ‘타자의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는 방리유를 배경으로 한 2000년 이후 영화 세 편을 선택하여 공간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민자 사회의 재현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프랑스 사회와 문화에서 수도와 방리유 사이에는 명백한 대립이 존재하며 방리유 영화는 이를 소수 인종의 관점에서 재현함으로써 프랑스 사회가 불편해하는 현실을 드러내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분석 작품으로는 방리유에 대한 편견을 변화시킨 것으로 평가받는 압델라티프 케시시의 <레스키브>, 그에 반해 방리유 영화의 전형적 요소들을 고수한 라지 리의 <레 미제라블>, 방리유에 사는 스리랑카 난민의 헌신적인 사랑을 다룬 자크 오디아르의 <디판>을 선택하였다. 비교주의적 관점에서 접근한 이 세 작품에 대한 공간 분석을 통해 감독의 이주 경험과 방리유를 바라보는 감독의 시선에 따라 시테 재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Cette étude vise à examiner la représentation des communautés immigrées du point de vue spatial en choisissant les trois films datant des années 2000 dont l’action se déroule dans une banlieue, perçue comme un “espace de l’Autre” depuis les années 1980. Aujourd’hui, il existe une opposition évidente entre la capitale et les banlieues, et le ‘Cinéma des banlieues’ est un moyen important de manifester une réalité cachée en représentant cette opposition du point de vue minoritaire.
    On a choisi comme objet d’analyse les films L’Esquive d’Abdellatif Kechiche, Dheepan de Jacques Audiard et Les Misérables de Ladj Ly. L’Esquive est apprécié pour sa nouveauté en changeant une image de la Cité que le Cinéma des banlieues a créée auparavent. Dans ses films, on peut voir la Cité décrite comme paisible et calme ainsi que la mise en valeur des personnages féminins. Par contre, Les Misérables maintient les codes typiques comme le conflit entre les jeunes de la Cité et la police, un impact négligeable des femmes sur la narration. Ce film nous rappelle La Haine de Mathieu Kassovitz qui se considère comme typique de Cinéma des banlieues. Enfin, la Cité représentée par Dheepan est identique à l’image que les grands médias français continuent de reproduire concernant les sociétés immigrées des banlieues.
    L’analyse de ces trois films, abordée dans une perspective spatiale et comparatiste, révélera que même au sein de la catégorie ‘Cinéma des banlieues’, il existe des différences significatives entre ces films en termes de représentation des communautés immigrées, de regard des réalisateurs sur celles-ci et de leurs attitudes à l’égard des problèmes de la banlieue. Ces différences, qui les distinguent du Cinéma des banlieues d’avant 2000, confirment l’évolution et l’expansion de ce derni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프랑스 문화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