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렉시오 디비나(Lectio Divina)와 기독교교육적 적용 (Lectio Divina and Its Christian Educational Approach)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3.05
28P 미리보기
렉시오 디비나(Lectio Divina)와 기독교교육적 적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84호 / 561 ~ 588페이지
    · 저자명 : 채혁수

    초록

    코로나로 인하여 온라인 예배에 익숙해진 교인들이 여전히 돌아오지 않고 있다. 입체적인 음향과 시각에 길들여진 이들에게 어떻게 하면 교회는 그들의 발걸음을 예배당으로 되돌리고, 또한 그들에게 복음을 전할 수 있을까? 이 천년 기독교 영성의 일차적인 텍스트인 성경으로 어떻게 그들의 관심을 다시 가져오며, 바른 성경읽기를 전할 수 있을 것인가? 오늘날 참으로 다양한 성경읽기의 방법들이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그 중에는 두 가지의 극단적인 잘못된 예가 있다. 하나는 신학적 주지주의에 너무 치중한 나머지 삶과 실천에는 전혀 선한 영향력을 끼치지 못하는 추상적이고 사변적인 방법이다. 또 다른 극단은 상황적 고려와 신학의 도움 없이 우의적인 각자의 해석에 치중한 나머지 혼란을 초래하는 맹목적 문자주의적 방법이다. 이 양극단을 피하며, 기독교 전통 속에서 찾을 수 있는 역동적인 성경읽기의 방법은 없는가? 우리는 어쩌면 신구약 성경에 근거하고, 교부시대 오리겐(Origen) 이후 교회의 오랜 성경읽기 전통인 렉시오 디비나(Lectio Divina)를 잊고 있었는지 모른다.
    이에 본 연구는 위에서 제기한 질문들에 답하며, II장에서는 기독교의 오랜 전통적 성경읽기인 렉치오 디비나에 대한 개괄적 소개로 정의와 성경적 기원, 역사, 방법, 기도적 응용을 살펴보고, III장에서는 렉시오 디비나의 신학적, 기독교교육학적 의의를 알아볼 것이다. 특별히 IV장에서는 렉시오 디비나의 교회현장의 실천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적용을 시도하려 한다. 첫 번째, 교육신학의 화두인 복음 내지는 신앙이라는 구조를 어떻게 기독교교육이라는 과정을 통해 담아낼 수 있을까하는 문제에 대하여 렉시오 디비나는 성서학자들의 석의적인 신학적 해석, 즉 이성적 접근너머 각자의 기도자가 신앙이라는 유비로서 접근하는 방법임을 전하려 한다. 두 번째, 기독교교육방법론에 있어서 렉시오 디비나는 기도자 내지는 학습자 스스로가 종교적 상상력과 경험을 통해 깨달을 수 있으므로 렉시오 디비나의 기도방법이 기독교교육의 마리아 해리스(Maria Harris)가 주장하는 종교적 상상력을 활용한 방법에 해당하는 것임을 제언하려 한다. 세 번째, 기독교교육과정에 있어서 렉시오 디비나는 내재적(implicit) 교육과정에 해당함을 살펴보며, 또한 오감을 통한 말씀의 묵상, 더 나아가 창조세계로의 관상을 통해 심미적 교육과정으로 이어짐을 알아보려 한다. 마지막 네 번째, 렉시오 디비나는 교사-학생의 관계에 있어 학생이 능동적 참여자로 교사와 학생, 그리고 눈에 보이지 않지만 가르침과 배움의 공간에서 도우시는 성령님으로 말미암아 교사와 학생이 ‘공동의’ 관상자, 구도자로 함께 하는 교육의 장을 연다는 의의를 찾아볼 것이다.

    영어초록

    In Korean churches, due to COVID-19, there are many missing Christians who have not returned to the church. How do Korean churches let them come back to the worship place and preach the gospel to those who are not accustomed to visual and auditorial surroundings such as online worship service? How does the Church let them pay attention to the Bible as the primary text of Christian spirituality? In addition, new heresies challenge their suspicious interpretations of biblical texts. In this situation, how do local churches teach the right Bible reading based on the two thousand church traditions to their members? This is also one of the present tasks of Christian education. Today, there are many ways to read the Bible. However, I will highlight two radical wrong ways. One is abstract and speculative theological intellectualism which does not have a good effect on life and praxis. The other radical is blind literalism without any help of theological methods and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This focuses on each interpretation of the text and creates confusion. Avoiding extremities, are there any dynamic Bible readings on the Christian tradition? We might lose the Lectio Divina based on the Bible, especially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which is also from Origen as an early father. Thus, this study will answer the questions above and introduce Lectio Divina which is the oldest traditional Christian Bible reading and try to apply that to the Christian educational fields of churches.
    The struct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in chapter I, I will introduce the present situation of post-COVID-19 and Lectio Divina for the intention of the study. In chapter II, I will explore the Lectio Divina in more detail such as its definition and its origin in the Bible. I will also explore the historical approach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nd patterns of Bible reading from Origen to Guigo II in church history. In addition, I will find the detailed cultivating methods of Lectio Divina and their application to prayer such as Jesus Prayer, Centering Prayer, and Derivative Prayer. In chapter III, I will explain the answer to the concerning question about Lectio Divina from the Korean Church and its theological and Christian educational meanings.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in chapter IV, I will offer several suggestions for the Church educational fields. Finishing this thesis, in chapter V, I will summarize the study and find the meanings and limitation, and suggest the task for the study for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