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기 부여 지역 폐사지 조사와 일본인 고고학자 : —石田茂作과 藤澤一夫의 활동을 중심으로 (Excavation of Buyeo Temple Sites and Japanese Archaeologists : The Cases of Ishida Mosaku and Fujisawa Kazuo)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6.03
32P 미리보기
식민지기 부여 지역 폐사지 조사와 일본인 고고학자 : —石田茂作과 藤澤一夫의 활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98호 / 168 ~ 199페이지
    · 저자명 : 이병호

    초록

    이 글은 식민지기에 부여 지역 폐사지에 대한 고적조사사업이 실시된 배경과 그 사업에 참여한 일본인고고학자들의 행적을 밝혀 그것이 가진 문제점을 명확히 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II장에서는 朝鮮古蹟硏究會의 재정적인 지원을 받아 이시다 모사쿠(石田茂作)가 중심이 되어 부여 지역폐사지 조사가 이루어진 배경을 고찰했다. 東京帝室博物館은 조선 만주실의 신설을 위해 유물의 확보등을 목적으로 조선고적연구회에 매년 기부금을 내고 소속 관원들을 파견하였다. 당시 同館의 감사관으로 불교고고학 전문가였던 이시다 모사쿠는 飛鳥 문화의 원류의 해명, 그중에서도 聖德太子가 건립한 것으로 알려진 法隆寺의 창건 시기를 해명하기 위해서는 백제 지역 폐사지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인식하고 조사에 참여하였다. 그가 직접 조사한 군수리사지와 동남리사지는 일본 초기 사원의 원류를해명하는 데 기여했지만 內鮮一體를 증명하는 고고학적 자료로 활용되고 유물의 국외 유출이라는 문제를 남겼다.
    III장에서는 1939년 扶餘神宮 조영이 공표된 이후 후지사와 가즈오(藤澤一夫)가 부여에 상주하면서 폐사지를 조사한 내용을 다루었다. 당시 부여 지역은 부여신궁과 부여신도건설계획안이 마련되어 ‘內鮮 一體의 靈地’로 선전되었다. 조선총독부에서는 神都 건설을 위한 대규모 공사에서 발견되는 매장문화재의 문제에 대처해야 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대 사원과 기와 연구의 전문가인 후지사와 가즈오를파견하였다. 그는 우메하라 스에지(梅原末治) 등의 적극적인 추천으로 1942년 7월부터 부여에 부임하여 부소산폐사지, 정림사지, 구아리사지 등 많은 폐사지를 조사했지만 당시의 조사 내용을 거의 공표하지 않았다. 최근 공개된 그의 일기를 보면 그가 일본의 초기사원과 백제의 관련성을 염두에 두고, 특히정림사지의 발굴에 큰 관심을 가졌던 것을 알 수 있다. 또 梅原末治 考古資料 등에는 단편적이기는 하지만 당시의 조사 내용을 추정할 수 있는 단서들이 확인된다.
    부여 지역 폐사지에 관한 고적조사사업은 조선총독부의 내선일체라는 정책과 부여신궁 조영이라는 국가적인 사업을 고고학적으로 지원하고 협력한 것이었다. 당시 발굴한 조사 내용의 미보고와 자료의 독점, 발굴품의 유출 등은 지금도 이 분야 연구를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 project on temple sites in Buyeo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relation to the activities of the Japanese archaeologists who took part in the survey.
    Chapter II reviewed the circumstances of the excavation, which was conducted by a group of researchers led by Ishida Mosaku, with financial support from the Joseon Historical Site Research Institute. The Tokyo Imperial Household Museum dispatched its officials to Joseon (Korea) to collect objects that would be displayed in the Joseon–Manchuria Gallery that was due to be opened, and also made annual donations to the aforementioned association.
    Ishida Mosaku was both an auditor for the said museum and an expert on Buddhist archaeology. He took part in the survey, as he found it necessary to perform research on the temple sites in areas which used to be part of the territory of the Baekje Kingdom. He attempted to shed light on the origins of the Asuka culture, particularly during the period when Horyuji, which is said to have been established by Crown Prince Shotoku, was founded. His excavations of the sites in Gunsu-ri and Dongnam-ri, Buyeo went a long way toward solving problems about the origins of early temples in Japan. The excavated objects were used to provide the logical basis for the policy adopted by the Japanese colonists attempting to make Korea’s culture a subpart of Japanese cultu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some of them were ultimately taken to Japan.
    Chapter III deals with the period around 1939, when the plan for the construction of a Shinto shrine in Buyeo was announced. At that time, Japanese colonists were waging a propaganda campaign, referring to Buyeo as a spiritual 식민지기 부여 지역 폐사지 조사와 일본인 고고학자 | 199 land for the assimilation policy, and drawing up plans for the construction of a Shinto shrine and the Divine Capital. They found it necessary to deal with the unearthed ancient artifacts that had been discovered at the sites of large-scale construction work and thus dispatched Fujisawa Kazuo, an expert on ancient Buddhist temples and roof tiles, to Buyeo at the strong recommendation of Umehara Sueji. Upon his arrival in Buyeo, Fujisawa Kazuo excavated many temple sites like Jeongnimsa and those at Busosan Mountain and Gua-ri from July 1942. However, he barely disclosed any of his excavated objects. His diary, which was unveiled recently, shows that he conducted the excavation of the Jeongnimsa Temple Site with a special interest in finding clues associated with early temples in Japan. The archaeological materials left by Umehara Sueji contain information that allow certain assumptions to be made about the content of his survey.
    Fujisawa’s archaeological excavation project on the temple sites in Buyeo during the colonial period was primarily intended to provide support for the assimilation policy adopted by the Japanese Governor-General’s Office in Korea,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a Shinto shrine. The lack of disclosure of the content of the excavations conducted at that time, the Japanese monopoly of the discovered materials, and the transfer of the materials to Japan are all highlighted as factors that make research on this subject difficul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