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낙(樂) 등’의 심리현상에 대한 불교인식론의 논증 (III) -『量評釋』의 미맘사 학파 견해 검증을 중심으로- (A Buddhist Demonstration of Pleasure, etc. as Psychological Phenomena (III): from Dharmakīrti’s epistemological examination against Mīmāṃsā’s pleasur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6.03
27P 미리보기
‘낙(樂) 등’의 심리현상에 대한 불교인식론의 논증 (III) -『量評釋』의 미맘사 학파 견해 검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46권 / 279 ~ 305페이지
    · 저자명 : 박기열

    초록

    쿠마리라(Kumārila)는 그의 쉬로카바르티카(Ślokavārttika)에서 ‘낙 등’(sukhādi)을 인식할 때 지식의 이상성(二相性, dvirūpatā) 중에서 지식 그 자체(svābhāsa), 즉 파악하는 측면(grāhakākāra)의 지식은 스스로를 대상으로 할 수 없다는 주장을 근거로 불교의 자기인식(svasaṃvitti)론을 부정한다.
    한편 다르마키르티는 Pramāṇavārttika, 「직접지각」장, 448-454에서 미맘사의 ‘낙 등’의 인식을 위해 별도의 인식수단을 상정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불합리한 점들을 차례로 지적한다. 그의 논지의 핵심은 어떤 사람(A)이 ‘낙 등’을 별도의 인식수단에 의해서 파악할 경우, 타인(B)도 ‘낙 등’에 대한 별도의 인식수단을 가질 것임으로 A의 ‘낙 등’은 B에 의해서도 동일하게 파악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다르마키르티는 A의 별개의 인식수단과 B의 인식수단은 A의 ‘낙 등’이라는 동일한 인식대상을 가질지라도, A의 ‘낙 등’과 B의 ‘낙 등’은 각각의 아트만과 화합하기 때문에, B의 인식수단은 A의 ‘낙 등’을 파악할 수 없다는 미맘사의 반론을 상정한다. 이 경우도 또한 다르마키르티는 ‘낙 등’이 각자의 아트만과의 화합 여부와 관계없이 B는 결코 A의 ‘낙 등’을 파악할 수 없다고 한다. 따라서 동일한 인식대상에 대해서 A에게는 그에 대한 인식이 현현하고, B에게는 현현하지 않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지적한다.
    한편 미맘사의 자기인식론의 부정과 별도의 인식수단의 설정에 있어 간과할 수 없는 것이 마나스(manas)의 역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르마키르티는 ‘낙 등’의 인식과 관련하여 마나스에 관한 논의는 하지 않고 있다. 이것은 다르마키르티가 직접지각 중에서 의지각(mānasapratykṣa)을 외계대상에 대한 지각에 관여하는 것에만 한정하고, ‘낙 등’의 심리현상에 대해서는 자기인식을 배정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Kumārila criticizes Buddhist self-awareness (svasaṃvedana). InŚlokavārttika, He asserts that the knowledge is not able to have itself as the object of cognition without another means of cognition. In other words, he denies the aspect of knowledge itself (svābhāsa) that is the grasping aspect (grāhakākāra) of knowledge in the two forms (dvirūpatā) of knowledge, the basic theory bringing into self-awareness theory of Yogacāra’s position of Dharmakīrti.
    In PV II 448-454, Dharmakīrtiexamines the cases that other means of cognition are required to cognize pleasure etc. and points out the irrationalities.According toDharmakīrti’s view, if there is another means of cognition for feeling pleasure, people should feel the feeling as much as what a person feels because each person can cognize personal feelings by another means of cognition. Mīmāṃsā says that though different person’s means of cognition has the same object of cognition, the personal pleasure etc. harmonizes with personal ātman, so that people cannot feel the other’s feelings. Dharmakīrti also disagrees with this opinion because it is impossible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cognitions to the one object of cognition. He asserts that regardless of the coordination of the feelings and the personal ātman, there must be the same result: Other people cannot feel the same pleasure etc. that belongs to a person.
    To conclude, Dharmakīrti says another means of cognition to be aware of pleasure etc. is not necessary; that is, cognition itself grasps all psychological phenomenon, a kind of knowledge as the object of cognition.
    On the other hand, in Mīmāṃsā’s epistemology, the function of manas is a key word in the negation of self-awareness and introduction of the other means of cognition theory. Dharmakīrti, however, does not discuss the manas in the part of the cognition to pleasure etc. I infer it is related to Dharmakīrti limits on mānasapratyakṣa as the pratyakṣa to the cognition of being outside and svasaṃvedana as the pratyakṣa for the cognition of psychological phenome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