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3자간 등기명의신탁에서 수탁자의 신탁부동산 처분에 대한 수탁자의 부당이득반환의무 (Trustee’s Obligation to Return Unfair Profits from the Trustee’s Arbitrary Disposal in a Tripartite Registered Title Trust)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2.02
39P 미리보기
3자간 등기명의신탁에서 수탁자의 신탁부동산 처분에 대한 수탁자의 부당이득반환의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33권 / 1호 / 67 ~ 105페이지
    · 저자명 : 김송

    초록

    대상판결의 사안은, 3자간 등기명의신탁에서 명의수탁자가 신탁부동산에 관하여 제3자에게 근저당권을 설정한 경우, 명의신탁자가 명의수탁자를 상 대로 피담보채무액 상당의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한 것이다. 위 명의신탁은 부동산실명법이 시행된 이후 체결되었다. 대법원은 이 경우 매도인은 명의 신탁자로부터 받은 매매대금을 보유하여 계약 목적을 달성하였으므로 실 질적인 손실이 없고, 명의신탁자는 피담보채무액만큼의 교환가치가 제한된 소유권을 이전받은 손해가 있다는 이유로, 피담보채무액 상당의 이익을 얻 은 명의수탁자는 명의신탁자에게 이를 부당이득으로 반환할 의무를 부담 한다고 판단하였다. 부동산실명법위반의 귀책사유가 있는 명의신탁자가 귀 책사유가 없는 매도인에게 매매계약을 해제하고 매매대금의 반환을 구하 거나 완전한 소유권의 이전을 요구하는 것이 신의칙상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근거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법리는 부동산실명법이 시행된 이후에는 그대로 적용될 수 없다.
    부동산실명법이 시행되기 전에는 명의신탁약정을 유효하다고 보았으므 로 매매계약에 따른 의무이행을 완료하였다고 믿은 매도인을 보호할 필 요성이 있었다. 반면 부동산실명법 시행 이후 명의신탁약정과 그에 기한 물권변동이 무효라고 하는 것은 매도인에게도 명백하고, 매도인은 3자간 등기명의신탁을 승낙하고 협조한 부동산실명법위반 방조범으로 형사처 벌까지 받을 수 있는 지위에 있다. 따라서 매도인에게 명의수탁자에 대한 소유명의 등기 이전으로 이후 명의신탁자로부터 매매계약에 따른 이행청 구를 받지 않을 것이라는 신뢰가 형성되었다고 볼 수 없다. 그와 같은 신 뢰가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이는 부동산실명법의 강행규정에 반하는 것 으로서 신의칙으로 보호할 정당한 신뢰로 볼 수 없다. 따라서 명의신탁자 의 매도인에 대한 매매계약에 따른 청구가 신의칙을 위반한 것이라는 이 유로 제한할 수는 없다. 결국 매도인에게 손실이 없다고 단정할 수 없다. 또한 대상판결은 명의신탁자의 매도인을 대위한 부당이득반환청구를 부정하였으나, 대상청구권의 행사에는 귀책사유 여부를 불문하므로 명의신 탁자는 매도인에 대하여 대상청구권을 갖고 있고 이를 보전하기 위하여 매도인을 대위하여 매도인의 명의수탁자에 대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상판결의 결론은 명의신탁자가 매도인과 체결한 매매계약 상의 위험을 계약의 당사자가 아닌 명의수탁자에게 전가하는 것이다. 대상판결의 반대의견과 같이 채무불이행 및 채권자대위권 등 계약법의 일반 원칙에 의하여 이해관계를 조정하더라도 공평에 반하는 결과가 생 기는 것도 아니라는 점에서, 대상판결의 다수의견은 부당이득반환청구권 의 보충성을 인정하여 온 기존 판례의 태도와 다른 결론을 내리고 있어 계약법과 부당이득법의 체계정합성 측면에서도 의문을 가지게 한다. 따 라서 대법원의 결론에 반대한다.
    한편 대상판결의 반대의견에는 부당이득의 본질과 관련하여 반대의견 이 취한 유형론이 개진되고 있으나, 특정한 유형의 틀에서만 부당이득의 성립이나 반환의 권리관계를 파악하는 것도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향후 대법원의 판결이 새로운 방향으로 재검토되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issue of the subject judgment is that, in a tripartite registered title trust, when the title trustee set a right to collateral security to a third party with respect to the real estate in the trust, the title trustor can request the title trustee for the return of unfair profits equivalent to the amount of the secured debt. The above title trust was concluded after the Act On The Registration Of Real Estate Under Actual Titleholder’s Name came into effect. The title trustor suffered a loss corresponding to the right to collateral security but the seller did not suffer any actual loss because he is not liable for damages due to the transfer of the ownership with the established right to collateral security despite receiving the sale price from the title trustor. The title trustor who has a reason for fault by violating the above Act is not allowed to cancel the sales contract to ask the return of the sale price or request for the transfer of the complete ownership under the principle of good faith while the seller can have the sale price pursuant to Article 538, paragraph 1 of the Civil Code. However, this legal principle cannot be applied as it is after the Act On The Registration Of Real Estate Under Actual Titleholder’s Name came into force. Before the above Act came into force, it was necessary to protect the seller who believed that the obligation under the sales contract had been fulfilled because the title trust agreement were considered valid. On the other hand, after the above Act came into force, the fact that the title trust agreement and the resulting transfer of a real right are invalid is clear to the seller. Therefore, it cannot be considered that trust has been formed with the seller that all his obligations under the sales contract have been fulfilled with the transfer of the registration of the title of ownership to the title trustee. Even if such trust has been formed, it is contrary to the mandatory provisions of the above Act and cannot be viewed as a legitimate trust to be protected with the principle of good faith. Therefore,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ere is no loss to the seller. In addition, the subject judgment reversed the original judgment that cited the title trustor’s request for the return of unfair profits on behalf of the seller. However, since the exercise of the claim right of vicarious compensation is widely acknowledged by precedents regardless of whether there is any reason for fault by the default, even if the seller has no reason for fault by the default and the title trustor has a reason for fault by the default, the title trustor has the claim right for vicarious compensation against the seller and can exercise the claim right for vicarious compensation or the right to claim to compensation for unfair profits against the title trustee regarding the disposal price on behalf of the seller. In addition, the subject judgment’s conclusion seems to pass the risk under the contract concluded by the title trustor with the seller to the title trustee. So far, the consistent attitude of our Supreme Court was that even if the beneficiary has benefits without legal causes, the parties to the contract should take the risks under the contract and should not pass the risk to a third party through a claim for the return of unfair profits. Therefore, this paper opposes the conclusion of the Supreme Court. Meanwhile, there are opinions according to typology regarding the nature of unfair profits against the above subject judgment of the Supreme Court but identifying the establishment of unfair profits or the right to return only in a certain type of frame is thought to be inappropriate. It is hoped that the Supreme Court’s judgment will be reviewed in a new direction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