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佛典 常用詞의 詞義 분석 -『緇門警訓』에 나타난 見과 象․像․相 등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Meaning of Commonly Used Buddhist Terminologies - An Examination of the Words 見, 象,․像,․相 found in the Zimen jingxun 緇門警訓 -)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3.12
54P 미리보기
佛典 常用詞의 詞義 분석 -『緇門警訓』에 나타난 見과 象․像․相 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37권 / 181 ~ 234페이지
    · 저자명 : 안재철

    초록

    어떤 漢字도 처음 만들어질 때부터 지금까지 변화되지 않고 사용되는 글자는 없다. 즉 字形은 물론이고, 字音과 字義조차도 많은 변화를 겪으면서 오늘날에 이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문을 해석하는 사람들은, 오늘날 사용되는 뜻만이 수록된 옥편을 참고하여 해석하기 때문에 많은 곳에서 오역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見(/jiàn/, /xiàn/)과 象(/xiàng/) 像(/xiàng/) 相(/xiāng/, /xiàng/) 등이 佛典에서 어떻게 사용되는가를 살펴, 바르게 번역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흔히 ‘見’을 단순히 ‘보다’라고만 해석하려고 하는데, 많은 경우 결코 그렇게 해석할 수 없다. 즉 ‘見’은 본래 ‘보다’라는 뜻이었던 것이 引伸되어 ‘解得하다’나 ‘드러나다’라는 動詞로 사용되거나, ‘見解’라는 뜻의 名詞로 사용되기도 하고, 나아가서 動詞의 앞에 쓰여 被動을 표시하기도 하며, 受事者를 指示하여 人稱代詞가 될 수도 있으며, 때로는 結果補語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見’과 ‘相’은 그 本義가 모두 보는 것과 관련되는데, ‘見’이 사람의 발 위에 그 사람의 눈을 그려 主觀을 나타내는 반면, ‘相’은 나무라는 대상을 사람이 눈으로 보고 있는 모습을 그려 客觀을 나타내었다고 할 수 있다.
    흔히 객관의 대상이 되는 것이 사람의 認識 밖에 존재하는 事物 자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사실은 外境에 존재하는 사물 자체가 인식의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고, 그것이 마음속에 받아들여져 마음속에 맺혀진 ‘相’이 인식대상이 되는 것이다. 本考에서는 外境에 존재하는 것과 인식대상이 되는 것을 각각 ‘象’, ‘像’, ‘相’으로 분리하여 그것이 지시하는 것을 정리하였다.

    영어초록

    Every Chinese character has undergone many changes since its creation, in form, sound and meaning. In spite of this, people who translate Classical Chinese Buddhist texts today often commit errors by referring to dictionaries which contain only the contemporary meanings.
    My thesis aims at examining such Chinese characters that appear in Buddhist scriptures as 見 (/jiàn/, /xiàn/), 象 (/xiàng/), 像 (/xiàng/), 相 (/xiāng/, /xiàng/), etc., and how to properly translate these words.
    For example, people often translate 見 into ‘to see’ only, but in many cases, it cannot be interpreted as above. There are many other meanings: ‘to understand’, ‘to disclose,’ ‘point of view,’ as an indicator of passive voice when situated before the verb, etc.
    Both 見 and 相 have the same meaning of ‘to see’; the former implies a subjective meaning, depicting a person's eyes on top of their feet, whereas the latter symbolizes an objective meaning, depicting someone who looks at the shape of a tree.
    It is easy for people to think of the subject as a thing. In fact, it is not external objects 外境 that are the object of cognition, but rather its 相 that has been accepted and focused in the inner mind. Therefore, I consolidate my treatise like this: 象 is an external object, 像 is the copy of 象, and 相 is an image carried in the m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