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술보장 위반책임의 본질 - 대법원 2018. 10. 12. 선고 2017다6108 판결 등을 중심으로 - (The Legal Nature of Representation and Warrant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9.08
39P 미리보기
진술보장 위반책임의 본질 - 대법원 2018. 10. 12. 선고 2017다6108 판결 등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30권 / 3호 / 149 ~ 187페이지
    · 저자명 : 임철현

    초록

    영미법상 계약에서 유래한 진술보장 조항이 국내 M&A계약에서 활발히 사용되면서 이 조항의 법적 성격에 대해 그간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이와 같은 학계와 실무상의 여러 논의 중에 마침내 대법원 2018. 10.
    12. 선고 2017다6108 판결에서는 진술보장 위반책임이 우리법상 ‘채무불이행책임’에 해당함을 명언하였다. 또한, 같은 사건을 대상으로 하면서위 대법원 판결에 앞서 있었던 대법원 2015. 10. 15. 선고 2012다64253 판결에서는, M&A 계약 체결 당시 이미 매도인의 진술보장 위반사실을알고 있었던 ‘악의의 매수인에 대해서도 매도인의 손해배상책임이 여전히 성립한다’고 판시함으로써, 이른바 ‘샌드배깅’의 문제에 대하여 매수인의 보호를 선택하는 판단을 내린 바 있다.
    이러한 대법원 판례들은 영미법계와 상이한 우리법 체계를 기준으로독자적인 법리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고, 앞으로의 실무 방향을 선도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해석론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매우 높다 할 것이다. 다만, 대법원은 샌드배깅의 문제에 대해서는 위험분배 내지 가격조정 기능의 관점을 과도하게 강조하며 악의의 매수인에게도 진술보장 위반에 기한 손해배상청구권을 인정하였던바, 이러한 해석은 채무불이행책임설과의 논리적 관계에서나 신의칙의 엄격한 적용관점에서는 이해할 여지가 있을지 모르겠으나, 진술보장의 정보제공 기능이나 형평성 측면에서 바라보면 재고의 필요성이 있는 부분이다.
    즉, 악의의 매수인에 대해 손해배상청구권을 인정하는 경우 그에게 이중의 이득을 안겨줄 여지가 있고, 그렇지 않다면 애초부터 매수인이 유리한 가격조정요인을 포기하였다고 볼 수 있으므로, 신의칙 또는 공평의이념에 따라 악의의 매수인에 대해서는 그 보호의 필요성을 부정해야할 것이다. 다만, 진술보장 위반사실에 대하여 매도인의 고의적인 은폐시도가 있었거나 매수인이 악의에 이르지 아니하고 과실 또는 중과실이있음에 그치는 경우 등 매수인이 악의인 사정보다 매도인의 귀책성이더 큰 경우에는 불법성 비교이론과 유사한 맥락에서 매수인의 손해배상 청구권을 긍정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re are a lot of controversy about the legal nature of Representation and Warranty provision that has been introduced by M&A contract in the Anglo-American Common law. On October 10, 2018, the Supreme Court declared that the liability for violation of the Rep & Warranty is a kind of damage for breach of contract under Korean law. And, in the Supreme Court decision, which preceded on the same case on December 15, 2015, it is sentenced that the buyer, who had been already aware of the violation of the seller’s Rep & Warranty at the closing of the M&A contract, could still have the right for damage for the loss in the future.
    These Supreme Court cases are very significant in that they have established our own judicial theory based on the Korean law system,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nglo-American Common law system. And they are also highly valued in that they present concrete interpretation methods that can guide the direction of the business.
    However, it should be reconsidered that the Supreme Court supported Pro-sandbagging in the sandbagging problem without respect to the principle of good faith or equity. In Korean law, the buyer, who was already aware of the breach of Rep & Warranty, should not be protected by the provision, not to provide two-fold advantage to him. Because the buyer must have negotiated the contract based on the knowledge that he had known, if not, he should be thought to have given up his chance to beat the price down. So the Supreme Court should have chosen the rule of Anti-sandbagging except that the seller had committed an immoral act with respect to buyer’s due dilig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