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행상품등급제 시행 전 ․ 후의 여행상품 서비스품질에 대한 실무자 인식차이 (Differences in perception on service quality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nforcement of ranking of the travel Products)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3.10
13P 미리보기
여행상품등급제 시행 전 ․ 후의 여행상품 서비스품질에 대한 실무자 인식차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품학연구 / 31권 / 5호 / 13 ~ 25페이지
    · 저자명 : 김세희, 최영민

    초록

    연구목적: 여행상품의 객관적인 기준을 미리 제시해주는 여행상품등급제가 여행업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실무자들을 중심으로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기로 한다.
    연구 설계 및 방법론: 설문조사는 여행상품등급제가 시행 중에 있는 여행업체 직원을 대상으로 159부의 설문내용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현재 여행상품등급제를 시행하고 있는 업체를 중심으로 여행상품등급제 시행 전과 시행 후를 나누어 실무자들의 인식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징에 따른 여행산업 발전의 인식차이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 및 연구 결과: 여행상품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점이 있어야 한다는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여행사들만이 여행상품등급제를 시행하고 있는 실정이고, 여행객들 또한 여행상품등급제에 관한 인식이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여행업 종사자들의 설문 응답 결과를 보면 여행상품등급제 시행 전보다 시행 후가 더 긍정적으로 변했다고 답하고 있고, 수익성이나 송출인원 실적 또한 상승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행사 입장에서는 상품등급과 그에 대한 옵션내용 등을 미리 공지함으로써 나중에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을 미리 방지할 수 있고, 여행사의 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여행소비자 입장에서는 객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기준지표로 인해 안정적이고 편안한 여행을 즐길 수 있고 여행사에 대한 신뢰성도 높아질 것이다. 여행상품등급제에 관한 여행객들의 인식은 아직 부족하나 여행업체들이 더욱 노력한다며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첫째, 본 연구의 조사는 여행상품등급제가 시행 중에 있는 세 업체만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둘째, 여행상품등급제에 따른 선행연구 부재로 인하여 기존연구와 비교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향후 연구방향: 실제로 이 상품을 이용해본 여행객들의 만족도 조사를 한다면 소비자인 관광객이 인식하는 서비스품질과 생산자인 실무자가 인식하는 서비스품질을 비교하여 더 나은 연구로 진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공헌점: 본 연구에서는 여행상품등급제 시행 전과 시행 후의 여행업 서비스품질 요인에 대한 여행사 실무자의 의견 차이를 검증한 후, 전략방향을 제시해주었다. 이로 인해 향후 우리나라 여행사들이 보다 개선되고 향상된 서비스품질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Purpose: This research i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ifference regarding hands-on workers' perception in terms of how providing the ‘ranking travel product' standard in advance influence the tourism industry.
    Design/methodology/approach: By utilizing the actual proof,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mong hands-on workers in the top three travel agencies in Korea, where the 'ranking the travel product' was implemented, were obtained.
    Results/findings: Although the objective criteria for travel products are needed, only a few travel agencies enforce the ranking of such products. In fact, the perception level of travelers with regard to the ranking of travel products is low as well. However, the opinions are positively changed after the enforcement of ranking travel products according to the responses of travel agency employees. If the ranking of travel products is well given with a notice beforehand, the travel agencies will be able to settle the conflict later, and also obtain more credibility of the travelers. The ranking of travel products will perform a role as an effective marketing tools for raising the competitiveness of travel agencies as well as for the vitalization of travel business.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only three travel agencies implementing the 'ranking of travel' were targeted. However, if the inquiry of tourists' satisfaction level on those evaluated travel products is conducted, we can further develop this project toward a validated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tourists'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and that of hands-on workers.
    Future work/research: In future research, conducting a satisfaction survey of travelers who are the actual users of this product might lead to a better study by comparing the awareness of service quality of tourists and producers.
    Originality/value: This paper will be helpful for travel agencies by providing higher and more leveled-up service in quality to customers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9 오후